'렌트 푸어' 238만 가구…2년새 48만가구 증가
상태바
'렌트 푸어' 238만 가구…2년새 48만가구 증가
  • 정진영 기자 jin@cstimes.com
  • 기사출고 2013년 04월 09일 08시 58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 정진영 기자] 소득에 비해 과도한 집세 부담에 시달리는 이른바 '렌트 푸어' 가구가 지난 2년간 크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9일 보건복지포럼 최근호에 실린 '2012년 주거실태조사' 결과에서 소득의 30% 이상을 집세로 쓰는 '임대료 과부담 가구'가 2년 전보다 25.3% 늘어난 238만4000가구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렌트 푸어 가구들을 임차 형태별로 보면 전세가 68.0%로 가장 많았다. 보증부 월세는 27.7%, 월세는 4.2%였다.

조사결과 전세 세입자의 42.8%, 보증부 월세 세입자의 20.4%, 월세 세입자의 23.1%가 소득의 30%가 넘는 집세를 부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 보증금의 이율을 8%로 계산했을 경우다.

렌트 푸어 가구들을 소득계층별로 보면 중위소득 50% 초과, 150% 이하의 중소득층이 111만2000가구로 가장 많았고, 중위소득 50% 이하의 저소득층이 77만4000가구로 뒤를 이었다.

중위소득의 150%가 넘는 상대적 고소득층 중에서도 49만7000가구는 소득에 비해 과도한 집세를 내고 있었다.

저소득층 렌트 푸어 가구의 62.0%는 65세 이상 노인이었다.

전체 세입자의 임대료 부담 비율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임차가구의 소득 대비 임대료 부담 비율은 지난 2008년 22.8%에서 2010년 23.1%로, 지난해 26.4%로 꾸준히 늘고 있다.

실태조사 보고서는 임대료 부담 증가에 따라 저소득층 세입자들이 비자발적 이사로 내몰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살고 있는 집으로 이사한 이유를 묻는 질문에 저소득층은 '전월세 계약 만료'(19.1%)와 '소득 감소 등 형편이 어려워서'(14.9%)라고 답한 경우가 많았다. 중소득층과 고소득층에서는 '직장 변동'이 가장 흔한 사유였다.

집세 부담 증가는 소득 감소보다는 임차료 상승이 더 중요한 원인인 것으로 파악됐다.

전국의 중위 전세가격은 2010년 6000만원에서 지난해 9500만원으로, 월세 주택의 집세는 20만원에서 25만원으로 뛰었다.

LH연구원 진미윤 수석연구원은 "주택시장 상승으로 저소득층뿐만 아니라 중소득층에서도 주거비 부담이 커졌다"며 "주택바우처 같은 주거비 지원사업이 성공하려면 민간 임대차 시장의 가격을 일정 부분 규제하는 시스템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