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이 되면 여드름이 심해져 피부과를 찾는 사람이 늘어난다. 더운 날씨로 온도가 올라가고 대사가 활발해지면서 피지분비양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매일 메이크업을 하는 직장여성들은 땀과 피지로 인해 화장이 뜨거나 번들거려 파우더를 덧바르기 쉬운데 이럴 경우 모공이 막혀 트러블이 생기게 된다.
'좁쌀여드름'은 모공입구가 완전히 닫힌 채 면포형태로 올라오기 때문에 고름이 잡힌 화농성 여드름만큼이나 관리가 어렵다. 좁쌀여드름을 무리하게 짜면 피지선을 자극해 손에 의한 2차 세균감염 우려가 있다. 초기관리를 잘못하거나 치료를 제대로 받지 않으면 염증성, 화농성으로 악화되거나 색소침착, 여드름흉터 등 각종 후유증을 동반할 가능성이 있다.
![]() |
좁쌀여드름을 관리하는 기본적인 방법은 모공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클렌징이다. 미세먼지와 화장품 등으로 모공속에 쌓인 노폐물과 피지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따뜻한 물로 여드름전용 폼클렌징을 이용해 마사지하듯 씻어주는 게 좋다. 세안후 차갑게 보관한 토너를 사용하면 모공수축에 도움이 된다.
또한 모공을 자극할만한 생활습관은 피하는 것이 좋다. 특히 이마에 여드름이 나는 경우 여드름을 가리기 위해 앞머리를 내리거나 모자를 쓰는 것은 여드름을 악화시킬 수 있다. 알코올 성분은 피부수분을 빼앗아 각질을 유발하고 피부온도를 상승시켜 염증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음주를 피하는 것이 좋다.
예전에는 자외선 차단제에 포함된 일부 화학성분이 여드름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했으나 최근에는 이러한 화학성분 사용을 줄이는 추세이므로, 자외선차단제의 성분을 확인하고 선택하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부산 다미안 김양제피부과 성재영 원장은 "여드름전용 화장품이라고 해도 알코올 성분을 많이 함유한 제품은 피부를 건조하게 만들고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컨슈머타임스 강윤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