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상생·고객 참여 확산" 코레일유통, '철도역 팝업스토어' 지난해 66건 운영
상태바
"지역 상생·고객 참여 확산" 코레일유통, '철도역 팝업스토어' 지난해 66건 운영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철도역, 일상과 문화를 잇는 플랫폼으로 변신하다
소상공인 지원부터 캐릭터, 패션까지…쇼핑과 재미를 한자리에서
2024년 5월 부산역 티니핑 팝업스토어 현장 모습(사진제공=코레일유통)
2024년 5월 부산역 티니핑 팝업스토어 현장 모습(사진제공=코레일유통)

컨슈머타임스=안우진 기자 | 철도 위를 달리는 열차처럼, 철도역 공간의 변화도 쉼 없이 달리고 있다.   

코레일유통(대표 박정현)이 철도역에서 운영하는 팝업스토어는 판로를 고민하는 소상공인들에게는 기회를, 역을 이용하는 고객들에게는 색다른 즐거움을 선사한다.

최대 30일간 운영되는 팝업스토어는 △지역 상생 △청년 창업, 소상공인 등 지원 △고객 경험 확대를 주요 목적으로 기획된다.

코레일유통은 2024년 한 해 동안 총 66건의 팝업스토어를 운영, 2023년(40건) 대비 54% 증가한 실적을 기록하며 철도역 공간 활용의 새로운 가능성을 입증했다. 

신규 입점 업체에게는 첫 참여에 한해 판매 수수료율을 인하해 주고 카드 수수료와 전기료, 홍보비용 등의 운영 부담도 덜어주는 등 실질적인 지원도 함께 마련하고 있다.

코레일유통이 전국 철도역에서 공통적으로 추진한 것은 '지역 상생형' 팝업스토어 운영이다. 

지난해 3월 평택 지역 농산물로 만든 '배로샌드' 팝업스토어를 통해 지역 소상공인의 판로 개척과 지역 특산물 홍보의 장을 마련했다.

11월 익산역에서는 익산 고구마를 활용한 쌀가루 쿠키 '익산기차샌드'와 청년 창업 주얼리 '루시골드'가 팝업스토어를 열어 청년 사업가와의 상생 모델을 선보였다.

12월에는 용산역에 장애인 디자이너의 문구·디자인 제품을 소개하는 팝업스토어를 운영해 장애인의 경제적 자립을 위한 판로 확대에 힘을 보탰다. 

다양한 주제의 플리마켓과 공연 등을 결합해 철도역 공간을 문화공간으로 탈바꿈시킨 점도 주목할 만하다.

청량리역에서는 가정의 달, 추석, 연말연시 등 월별 테마에 맞춘 플리마켓이 열려 시민들의 발길을 사로잡았고 익산역 팝업스토어에서는 크리스마스 버스킹 공연 등을 통해 문화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더했다.

지난해 5월에는 인기 캐릭터 '캐치! 티니핑' 팝업스토어가 운영되며 티니핑 인형, 포토존, 아이스크림카 등을 구성해 약 120만 명의 방문객을 기록하며 철도이용객 뿐만 아니라 가족단위 고객에 높은 관심을 모았다.

부산역, 동대구역 등에서는 열차블록부터 피규어·캡슐 장난감 자판기 중심의 팝업스토어가 운영돼 철도역을 찾은 고객들에게 색다른 즐거움을 제공했다.

올해에도 코레일유통은 철도역이라는 물리적 공간을 넘어 사람과 지역, 문화와 경제를 잇는 '찾아오는 플랫폼'으로의 전환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 3월 청량리역에서는 친환경 제품에 대한 홍보와 인식개선을 위해 쓰레기없애기(제로웨이스트) 생활용품, 우드 주방용품 등 저탄소 녹색 상품이 판매됐다. 

이어 5월 16일부터는 수원역에서 노인일자리 참여 어르신들이 직접 생산한 참기름, 누룽지, 천연비누 등을 판매하는 '노인생산품' 팝업스토어를 운영 중이며 이는 고령층의 경제 활동을 지원하고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강화하는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안상덕 코레일유통 유통사업본부장은 "철도역이 단순한 이동의 통로를 넘어 누구나 즐기고 머물고 싶은 공간이 되도록 지속적인 기획과 시도를 이어갈 계획"이라며 "지역 경제 활성화와 고객 참여 확대를 위한 맞춤형 콘텐츠를 더욱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