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슈머타임스=김하은 기자 | 경기 침체가 장기화·가속화되면서 지방은행의 건전성에 경고등이 켜졌다. 지역 경기 둔화 등으로 실적 부진과 함께 경쟁력이 저하된 지방은행을 정상화하기 위한 지원 방안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특히 지방은행은 지역 경제의 주축이 되는 점을 고려했을 때 지역 중소기업 부실 리스크를 피하기 어려울 것이란 이야기가 나온다. 지역 경제 침체에서 벗어나기 위한 규제 완화 등 실효성 있는 대책이 시급하다는 우려가 나온다.
15일 금융권 통계에서 지방은행의 평균 기업 대출 연체율은 시중은행의 3배 수준으로 확대됐다. 3개월 이상 원리금 상환이 연체돼 떼일 가능성이 큰 부실 채권(고정이하여신)은 1년 만에 4654억원으로 80%가량 불어났다.
총 기업 대출에서 고정이하여신이 차지하는 비중 역시 늘었다. 올 1분기 말 기준 이들 은행의 기업대출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0.67%로, 같은 기간 0.29%포인트 상승했다.
5대 지방은행(부산·경남·전북·광주은행 및 iM뱅크 등)의 올해 1분기 말 기준 기업 대출 평균 연체율은 1.03%로 전년 동기(0.71%) 대비 0.32%포인트 증가했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전북은행이 1.53%로 기업 대출 연체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iM뱅크(1.32%), 광주은행(0.96%), 경남은행(0.70%), 부산은행(0.65%) 순으로 나타났다.
이중 iM뱅크의 기업대출 연체율이 가장 크게 올랐는데, 이 은행의 올 1분기 말 연체율은 1.32%로 같은 기간 동안 0.60%포인트 늘었다.
최근 지방은행의 자산 건전성이 빠르게 악화한 것은 지역 기업의 폐업과 부도가 늘었기 때문이다.
법원통계월보에 따르면 지난해와 2023년 지방법원에 접수된 연간 법인 파산 건수는 각각 555건, 554건으로 2022년(308건)과 비교해 80%가량 증가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등도 실적 부진에 적잖은 영향을 미쳤다.
지역 경기 침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중소기업이 실적 부진에 허덕이자 지역 경제의 금융 기반이 되는 지방은행이 직접적인 타격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지역 중소기업의 부실이 지방은행의 충당금 부담과 연체율 관리 등 건전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실제 지방은행의 원화대출금을 살펴보면 중소기업에게 빌려준 자금이 절반 이상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병 기업자금 대비 중소기업 비율은 부산은행 65.33%, 경남은행은 67.76%다. 광주은행의 경우 57.3%, 전북은행은 51.3% 순이었다.
상황이 악화되자 지방은행들은 일시적으로 충당금(떼일 것에 대비해 쌓는 돈) 규제를 완화해달라고 금융 당국에 건의했다.
아울러 수도권 대비 쇠티하고 있는 지방 특성상 영업 여건 개선을 위해 지역 소재 공공기관의 지방은행 거래 비율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의무화하는 방안을 도입할 것을 요구했다.
지방은행 관계자는 "1960년대 이후 지방은행이 지역경제 성장과 중소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해 왔으나 산업구조 변화와 인구 감소 등으로 위축된 게 사실"이라며 "특히 시중은행의 과도한 지역 침투 전략과 인터넷전문은행의 출현에 따른 가격경쟁 심화로 영업기반이 크게 위협받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같은 상황이 지속되면 지역경제와 지방은행의 쇠퇴, 수도권 집중에 따른 지역소멸이 가속화될 수밖에 없으므로 해결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우려했다.
이에 정부와 금융당국 중심으로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은행 금고 지정 등 지방은행 활성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다만, 빠르게 진행되는 지방 인구 소멸과 지역 중소기업 부실 확대 등이 자리잡은 현 시점에서 제도적인 지원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시각도 있다.
금융권 전문가는 "지역 균형 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사회적 가치를 우선하고, 정부와 지자체의 일관된 지원 정책 마련과 지원이 강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