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금융사고' STOP…은행권, 칼 빼든다
상태바
잇단 '금융사고' STOP…은행권, 칼 빼든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김하은 기자 | 은행들이 올해 주요 경영 전략 목표로 내부통제 강화를 내세운 점이 무색할 정도로 잦은 금융사고가 발생하자 은행권이 결국 칼을 빼들었다. 

은행권은 내부통제 모니터링 강화는 물론, 인력 투입 규모를 확대하는 등 관리감독 강화에 힘쓰는 모양새다. 특히 올해부터 금융권의 중대재해처벌법인 '책무구조도'가 본격 도입되는 만큼, 은행들은 사고 예방을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직원 개인 일탈에 의한 사고 역시 빈번해 제도적으로 사고 예방에 한계가 있는 만큼 직원들의 직업윤리 의식 변화가 불가피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4일 은행연합회 통계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이 올해 공시한 10억원 이상 금융사고 건수는 13건, 피해 금액 규모만 총 857억9900만원에 달한다. 이는 지난해 금융사고 전체 피해 금액의 절반에 해당하는 규모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하나은행 5건·488억4500만원 △국민은행 4건·110억9800만원 △농협은행 2건·221억5100만원 △신한은행 2건·37억500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사실 금융권에서 발생한 금융사고는 수년 간 끊임없이 이어져왔다. 이중에서 은행에서 발생한 사고만 과반을 넘어섰다. 

금융감독원이 공개한 '금융권 금융사고 발생 현황'을 보면 2021년∼2025년 4월까지 사고 금액이 총 7717억원이었으며, 이 중 은행 사고 금액은 4403억원으로 57%에 달했다.

이처럼 금융사고 건수나 규모가 좀처럼 줄지 않으면서 고객 신뢰를 점차 일고 있는 은행들은 각 사 상황에 맞게 내부통제 경영 전략을 수정, 반영하고 있다. 

먼저 신한은행은 사고 예방을 위한 대책 중 하나로, 금융사고 내부 고발 포상금을 기존 5억원에서 20억원으로 상향했다. 아울러 인공지능(AI) 등 디지털 신기술을 활용해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을 도입해 이상징후 탐지 모형을 개발했다.

국민은행과 하나은행은 위험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FDS를 구축했다. 

특히 국민은행은 기업여신·자산관리·글로벌 전담 인원을 새로 두기로 했으며, 책무관리 전담조직을 별도로 설치했다. 

하나은행의 경우 준법 인력을 25명이나 새롭게 추가하는 등 감시를 확대했다.

우리은행은 윤리경영실을 신설해 외부 전문가를 영입했다. 또 금융권 최초로 '임원 친인척 개인신용정보등록제'를 시행했으며, 성과에 대해서는 단기적 평가를 지양하기 위해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전환했다.

농협은행은 금융사고 발생 시 지사무소장에 대해 대기발령을 내리는 등 인사 조치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밖에도 전 금융권에서 책무구조도가 시행된다. 금융사의 임원은 본인의 업무와 관련된 책무는 스스로 책임져야 하고, 관리 의무 이행에 따라 제재 경감이 적용된다.

다만 금융사고 근절과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선 내부통제 문화가 금융기관에 정착해야 하는 등 근본적인 의식 변화가 선제적으로 이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사고 대부분이 개인 일탈에 따른 경우가 많아 직업 윤리의식이 바탕이 되고, 이를 기업 문화에 정착시키는 게 중요한 과제라고 본다"며 "금융사고 억제와 예방을 위해선 내부통제 시스템 관련 투자는 물론,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사고 예방 교육을 꾸준히 확대 시행해야 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