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슈머타임스=김동현 기자 | 조달청이 올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 공공주택 조달 규모를 9조원 수준으로 확정했다. 건설업계 활성화를 위해 이 중 60%를 상반기 조기 집행한다는 계획이다.
조달청은 8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5년 LH 공공주택 계약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조달청은 정부 정책에 따라 지난해 4월 LH로부터 공공주택 설계·시공·건설사업관리(CM) 사업자 선정 등 관련 업무를 이관받았다.
올해 LH 공공주택 조달 발주 규모를 221건, 9조3000억원으로 확정했다.
이는 지난해 139건, 8조원보다 건수는 59.0%(82건), 금액은 16.3%(1조3000억원) 증가한 것이다.
특히 정부의 건설경기 활성화를 위한 신속 집행 기조에 맞춰 올해 상반기 연간 발주 물량의 59%인 5조5529억원을 발주할 계획이다.
특정 시기에 집중되지 않도록 계약 일정을 LH와 적극 협의해 발주 물량 집중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이 밖에 공공주택 품질 관리를 위한 다양한 방안도 도입 예정이다.
우선 철근 누락 등 부실시공이 확인된 공사의 사업관리 실적은 평가(CM용역)에서 제외하며 품질관리에도 집중한다.
설계 과정·결과에 대한 사후 평가를 통해 설계 공모 심사에서 우수한 품질을 확보한 설계자에게 가점을, 부실 설계자에게 감점을 부과한다.
이 밖에도 건설사업관리 기술인 평가에 심층 면접을 도입하고 주요 구조부의 안전성 및 품질 향상을 유도하기 위해 건축구조 분야 심사위원을 추가하고 건축시공 및 구조 위원 명부도 확대,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공정성을 확보해 부실 공사 가능성도 원천 차단한다.
건설사업관리 용역 입찰 시 업체의 과도한 경쟁으로 인한 부작용을 줄이고자 종심제 평가 시 심사위원의 정성평가 배점을 축소한다.
이를 통해 과도한 로비의 사슬을 끊겠다는 의도다.
또한, 표준 입찰 공고서를 명확히 해 입찰자의 혼선을 줄이고, 전산시스템도 개선해 입찰자의 편의성을 높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