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북 산불 주불 모두 진화…정부 "이재민 지원·산불 재발방지 등 총력"
상태바
경남북 산불 주불 모두 진화…정부 "이재민 지원·산불 재발방지 등 총력"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기동 중대본부장 "이번 산불 역대 최대 피해…사망 30명 등 인명피해 75명"
산림 4만8000㏊ 영향·주택 3000채 전소 등…자원봉사자 1만명·성금 550억원"
"이재민 긴급생활 안정지원금 등 피해복구 지원…산불 재발방지·초기대응 약속"
29일 경북 안동시 임하면 추목리 주택들이 산불로 무너져 있다.
29일 경북 안동시 임하면 추목리 주택들이 산불로 무너져 있다.

컨슈머타임스=이승구 기자 | 경상남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한 대형 산불의 주불이 모두 진화됐다는 정부의 발표가 나왔다.

정부는 이번 산불이 역대 최대 규모의 인명과 재산 피해를 남겼다면서 이재민에 대한 긴급생활 안정지원금을 비롯한 피해 복구 지원, 산불 재발방지, 산불 발생 시 초기대응 등을 약속했다.

고기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은 30일 오후 경북도 재난안전상황실에서 주재한 중대본 회의에서 "지난 21일부터 경남과 경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한 대형산불은 총력 대응 끝에 주불을 모두 진화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고 본부장은 "이번 산불은 인명과 재산 피해 모두 역대 최대 규모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중대본에 따르면 지난 22일 시작한 경북 산불은 일주일만인 28일에, 경남은 10일만인 이날 오후 1시께 주불이 완전 진화됐다.

인명피해는 사망자 30명을 포함해 모두 75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산불 피해 영향구역은 총 4만8000여㏊로 추산됐다. 시설피해는 주택 전소 3000여동, 국가유산 피해 30건, 농업시설 2000여건 등이었다.

고기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안부 장관 직무대행)이 30일 경북도청에서 열린 울산-경북-경남지역 산불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고기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안부 장관 직무대행)이 30일 경북도청에서 열린 울산-경북-경남지역 산불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정부는 경북·경남 중앙합동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이재민 구호활동을 펴고 있으며 의료, 세금, 통신 등 기관별 지원사항이 포함된 '산불 종합안내서'를 마련하고, 7곳의 현장지원반을 통해 주민 민원을 신속히 해결하고 있다.

이재민의 주거안정과 조속한 일상 복귀를 위해 임시조립주택 입주 희망 수요조사를 실시하고, 이주단지 조성 등 장기 해결책도 마련할 계획이다. 

의료급여 지급, 건강보험 경감, 통신비 감면 등 민생지원과 함께 농기계 및 종자·육묘 지원을 통해 피해농업인의 영농재개도 지원한다.

피해가 확인된 이재민에게는 지자체를 통해 긴급생활 안정지원금을 신속히 지원하고, 심리 및 의료 지원도 병행한다.

이번 산불사태가 발생한 뒤로 전날인 29일까지 약 1만여명의 자원봉사자가 피해 수습과 이재민 지원에 참여했다.

전국재해구호협회 등을 통해 약 550억원의 성금이 모금됐다.

고 본부장은 "이제껏 경험하지 못한 이번과 같은 산불은 언제든 다시 발생할 수 있어 예방과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며 산불 위험지역 수시 현장 점검과 진화인력·장비 선제 배치 등 철저한 초기대응을 약속했다.

그러면서 그는 드론 등 첨단 장비를 활용해 산불 감시를 촘촘히 하고,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자율순찰도 강화하겠다며 "매우 빠르게 확산하는 산불 경향을 반영해 주민 사전대피계획을 세밀하게 수립하겠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