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입주물량 급감…실수요자 시름 깊어진다
상태바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 급감…실수요자 시름 깊어진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김동현 기자 | 서울 아파트 공급이 급감하면서 실수요자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26일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올해(3월 조회 기준) 서울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은 총 3만7681가구로 집계됐다.

2026년에는 9640가구, 2027년에는 9573가구로 급감할 전망이다. 이는 올해 입주 물량의 약 4분의 1 수준으로, 향후 몇 년간 서울에서 새 아파트를 찾기가 더욱 어려워질 것임을 시사한다.

서울에서의 주택 공급이 어려운 이유는 재건축·재개발, 민간 자체 주택사업 등 모든 공급 방식이 난항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도시정비 사업장에선 공사비 급등으로 인한 조합과 시공사 간 갈등이 사업 진행을 지체시키고 있다. 부동산 PF 부실 문제와 경기 불확실성으로 건설사들의 신규 사업 추진도 위축된 상태다.

정부가 공급 확대 카드로 꺼낸 1~3기 신도시 개발 역시 서울이 아닌 경기·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돼 서울 내 공급 문제 해소에는 한계가 있다.

신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품귀현상이 예고된 가운데, 무주택자들의 주거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이들에게 서울 내에서 적정 가격대의 새 아파트를 찾기란 점점 더 어려운 과제가 되고 있는 것이다.

한국부동산원 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지난해 3월(10억5134만원)부터 올해 1월(11억2747만원)까지 11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공급 부족 이슈에 더해 금리 인하, 토허제 해제 등이 불쏘시개 역할을 하며 올해 하반기까지 상승장이 지속될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놨다. 

이에 서울과 가까우면서도 비교적 가격 부담이 적은 경기권 아파트가 실수요자들에게 좋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전국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올해 2월 기준 경기도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5억2793만원으로, 서울(11억3345만원)의 반값 수준이다. 

이러한 흐름은 실제 거래 통계에서도 확인된다.

한국부동산원 매입자 거주지별 아파트 매매 거래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거주자가 매입한 경기도 아파트는 총 1만7093채로, 직전년도(2023년 1만3429채) 대비 27% 증가했다. 서울 주민들이 경기도 아파트로 눈을 돌리고 있음을 분명히 보여주는 수치다.

부동산인포 권일 리서치 팀장은 "최근 경기지역에는 다양한 교통개발사업이 진행되면서 서울과 경기의 생활권 경계가 점차 흐려지고 있다"며 "서울 내 공급 부족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내 집 마련을 고려하는 실수요자들은 경기권 신규 분양 단지를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올해는 서울 접근성이 좋은 곳일수록 치열한 청약 경쟁이 예상되는 가운데, 일신건영은 4월 서울 바로 옆 부천시 원종지구에 '원종 휴먼빌 클라츠'를 분양할 예정이다.

전용면적 46~59㎡, 총 255가구이며,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는 공공택지지구에 들어서 분양가가 합리적으로 책정될 것이 기대된다.

김포시 풍무동에서는 롯데건설이 '풍무역 롯데캐슬 시그니처'를 분양한다. 전용면적 65~84㎡, 총 720가구로, 김포골드라인 풍무역이 도보권에 위치한다.

HDC현대산업개발도 4월 안양시 박달동 신한아파트를 재건축해 '호현 센트럴 아이파크'를 선보일 계획이다. 전용면적 65~84㎡, 총 507가구 중 134가구가 일반분양 물량이다. 1호선 안양역과 KTX 광명역 사이 위치하며, 광역버스 이용 시 사당까지 30분대면 이동 가능하다.

5월에는 대방건설이 성남시 금토동에 '성남금토지구1차 대방 디에트르'를 공급한다. 전용면적 84㎡ 단일 구성, 총 203가구며, 이중 197가구가 일반분양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