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슈머타임스=김하은 기자 | 새마을금고가 연체율이 점차 하락하고 유동성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전반적으로 안정세에 접어든 것으로 평가됐다.
앞서 새마을금고는 재작년 여름 '뱅크런'(현금 대량 인출사태) 사태에 몰렸던 적이 있다.
행정안전부가 21일 발표한 '1276개 새마을금고 2024년 영업실적(잠정) 발표'에 따르면 새마을금고 총자산이 지난해 말 288조6000억원으로 전년도 말(287조원)보다 0.6% 증가했다.
총수신은 258조4000억원으로 2023년 말(254조9000억원)보다 1.4% 늘었다.
총대출은 183조7000억원으로 2023년 말(188조1000억원)보다 2.3% 줄었으며, 기업대출(107조2000억원)은 0.2%, 가계대출(76조5000억원)은 5.2% 각각 감소세를 나타냈다.
자산건전성 지표인 전체 연체율은 2024년 말 기준 6.81%로, 같은 해 6월 말보다 0.43%포인트 하락했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10.41%로, 2023년 말 대비 2.67%포인트 상승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1.75%로 전년 말 대비 0.23%포인트 올랐다.
지난해 초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은 상승했으나 목표관리, 연체채권 매각 등 적극적이고 집중적인 건전성 관리 결과 연말 연체율이 6월 말보다 하락하는 등 점차 안정화된 것으로 풀이된다.
순자본비율은 8.25%였다. 전년 6월 말과 비교해 0.04%포인트 상승했다.
손익에서는 순손실이 1조7382억원 발생했다. 이는 손실 흡수능력 제고를 위한 대손충당금 적립 비용(1조6000억원)이 큰 폭으로 증가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작년 말 기준 예수금은 258조4000억원으로 전년도(254조8000억원)에 이어 안정세를 보였다. 가용 유동성은 68조8000억원으로 시장 충격에 충분한 대응이 가능한 높은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