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인구정책위원회' 개최…"저출산·고령사회 대응 박차"
상태바
인천시, '인구정책위원회' 개최…"저출산·고령사회 대응 박차"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5년 '인구정책 시행계획' 및 '인구감소지역 대응 시행계획'수립
하병필 부시장 "실질적인 인구정책 지속 발굴해 나갈 것"
인천시(시장 유정복)는 3월 10일 시청 영상회의실에서 하병필 행정부시장 주재로 '2025년 제1회 인구정책위원회'를 개최하고 '2025년 인천광역시 인구정책 시행계획' 및 '2025년 인천시 인구감소지역 대응 시행계획'을 확정했다.
인천시(시장 유정복)는 3월 10일 시청 영상회의실에서 하병필 행정부시장 주재로 '2025년 제1회 인구정책위원회'를 개최하고 '2025년 인천광역시 인구정책 시행계획' 및 '2025년 인천시 인구감소지역 대응 시행계획'을 확정했다.

컨슈머타임스=안우진 기자 | 인천시(시장 유정복)는 3월 10일 시청 영상회의실에서 하병필 행정부시장 주재로 '2025년 제1회 인구정책위원회'를 개최하고 '2025년 인천광역시 인구정책 시행계획' 및 '2025년 인천시 인구감소지역 대응 시행계획'을 확정했다.

'2025년 인천광역시 인구정책 시행계획'은 저출산 대응, 고령사회 대응, 인구 구조변화 대응을 중심으로 12대 추진 전략과 63개 세부 과제로 구성됐으며 총 6357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인천시는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 인구정책 시행계획을 수립하면서 2024년도 45개 세부 과제에 18개의 신규 및 추가발굴 과제를 더해 정책을 확대 추진한다.

주요 신규 과제로는 △인천형 신혼부부 공공임대주택 지원사업 △맘편한 산후조리비 지원사업 △노인복지관 확충을 통한 접근성 강화 등이 포함됐다. 이를 통해 생애주기별 맞춤형 정책을 강화하고 모든 연령층을 포괄하는 정책적 배려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2025년 인천광역시 인구감소지역 대응 시행계획'은 '인천광역시 인구감소지역대응 기본계획(2022~2026)'을 기반으로 수립됐으며 4대 전략, 12개 실천 과제, 60개 세부 사업으로 구성됐다. 

균형발전을 통해 지역 간 인구 불균형을 해소하는 것을 목표로 지역 특성에 맞는 사업을 발굴해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전년 대비 231억 원(15%)이 증가한 1767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한편 2024년 12월 기준 인천의 총인구는 311만 명으로 전년 대비 약 3.2만 명 증가했다. 2025년 1월 기준 전월 대비 인구 증가율(0.09%)도 특·광역시 중 1위(인천>세종>대전)를 기록하며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2024년 인천광역시 출생아 수 증가율(11.6%) 역시 특·광역시 중 1위를 차지하며 인구정책의 긍정적인 성과를 나타냈다.

인천시 하병필 행정부시장은 "저출산과 인구감소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실질적인 인구정책을 지속적으로 발굴·추진해 나갈 것"이라며 "다양한 정책들이 인구 증가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