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슈머타임스=김동현 기자 | 다음달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이 대거 줄어든다.
23일 직방에 따르면, 2025년 2월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은 총 2만 1,404세대로 전월(3만 3,723세대) 대비 37% 적은 물량이 공급된다.
권역별로는 수도권 물량 감소폭이 크다.
수도권 입주물량은 7,250세대로 전월(1만 3,980세대)의 절반 수준이며 물량 자체로는 지난 해 7월(2,318세대) 이후 가장 적다.
전월 서울, 경기에서 메머드급 규모의 대단지와 인천지역에서 5개 단지가 입주한 반면에 2월은 중소형 규모 단지 위주로 입주가 진행돼 수도권 입주물량 감소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지방은 1만 4,154세대 입주하며 2월 전체 물량의 66%를 차지한다. 김해, 대전 등 대규모 단지가 입주한다. 경남 5,422세대, 대전 2,763세대, 전북 1,431세대, 충남 1,107세대 등 10개 시도지역에서 입주물량이 공급된다.
직방 김은선 빅데이터랩실장은 "2월 입주물량 감소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보인다"며 "2월 물량 감소를 지나면 다가오는 3월은 수도권 입주물량(1만 2,684세대)으로 2월 대비 75% 다시 증가하면서 2월 수도권 입주물량 감소에 따른 여파는 적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3월 서울은 성북구, 광진구 등에서 정비사업을 끝낸 브랜드 대단지들의 입주가 계획돼 있다.
경기도 오산, 수원 등 남부권 위주로 입주하며 인천도 송도지역에서만 3개 단지가 입주예정이다.
경기침체 우려와 탄핵정국 여파로 조용한 시장 분위기가 이어지는 가운데 입주전망도 밝지가 않다.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1월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68.4p)는 2년 만에 최저치를 나타냈다.
대출규제가 이어지고 매수심리 위축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높아지며 입주시장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특히 인기지역인 수도권 입주율이 전달보다 소폭 하락했다. 대출규제가 지속되고 기존 아파트 거래 부진으로 입주가 차질을 빚으며 입주율이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최근 건설사 부실위험이 대두되며 시장 불안이 더욱 높아지는 가운데 당분간 새 아파트 거래 시장도 위축된 분위기가 이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