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 증가폭 반으로 '뚝'…작년 16만명에 그쳐
상태바
취업자 증가폭 반으로 '뚝'…작년 16만명에 그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강나연 기자 | 지난해 일자리 증가폭이 크게 감소했다. 비상계엄 선포와 정치 혼란이 이어진 12월엔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연간 취업자수 증가폭은 약 16만명으로, 32만명 이상을 보였던 전년과 비교하면  '반토막'이 났다.

작년 12월 취업자 수는 3년10개월 만에 감소로 돌아섰는데, 연말이 되면서 정부의 일자리사업이 마무리된 데다가, 12·3 비상계엄 여파로 소비심리가 위축돼 고용시장이 충격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1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취업자 수는 2857만6000명으로 1년 전보다 15만9000명(0.6%) 증가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연간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2020년 이후로 최악의 고용성적표다.

연간 취업자 수는 2019년 30만1000명 늘었다가 2020년에 21만8000명 감소했고 이듬해엔 36만9000명 증가했다.

2022년에는 81만6000명 늘어나며 2000년(88만2000명) 이후 22년 만의 최대 폭을 기록했다. 이후 2023년 증가폭이 32만7000명으로 줄어들었고, 지난해에는 15만명대로 반토막이 났다.

산업별로는 건설업 취업자 수가 4만9000명 감소했다. 2013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하락 폭이 가장 크다.

도매 및 소매업(-6만1000명)과 제조업(-6000명) 등 주요 산업도 취업자 수가 뒷걸음질 쳤다.

반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8만3000명), 정보통신업(7만2000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6만5000명) 등 산업은 취업자 수가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에서 26만 6000명, 30대에서 9만명, 50대에서 2만8000명 각각 취업자가 늘었다. 반면 20대는 12만4000명, 40대는 8만1000명 취업자가 줄었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18만3000명, 임시근로자는 15만4000명 각각 증가했다.

일용근로자는 12만2000명 감소했다. 2012년 12만7000명 감소한 이후 가장 큰 폭이다.

비임금근로자 가운데는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1만2000명)는 증가했지만,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4만4000명)와 무급가족종사자(-2만4000명)는 감소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2.7%로 전년보다 0.1%포인트(p) 올랐다. 1963년 통계 작성 이래 최고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인 15∼64세 고용률도 69.5%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특히 '연말 고용한파'가 연간 통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12월 취업자 수는 2804만1000명으로 5만2000명 줄었다.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1년 2월 47만3000명 줄어든 이후 3년 10개월 만의 마이너스다

건설업(-15만7000명), 제조업(-9만7000명), 도매 및 소매업(-9만6000명) 등에서 취업자가 감소했다.

연령별로는 20대에서 19만4000명, 40대에서 9만7000명 각각 감소했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건설업, 제조업, 도소매업 등 산업군에서 취업자 감소 폭이 확대되면서 취업자가 전반적으로 감소 전환했다"고 설명했다.

실업자는 17만1000명 증가했다. 특히 60세 이상에서 실업자가 17만7000명(49.2%) 큰 폭으로 증가했다.

실업률도 3.8%로 0.5%p 증가했다. 고용률은 0.3%p 감소해 61.4%였다.

서 국장은 "지난달 60세 이상 연령에서 실업자가 주로 늘었다"며 "보건복지나 공공행정 부문의 일자리 사업 종료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