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라우드 기반 웹 콘텐츠 AK VIEW·3D 스마트글라이스 전용 AK GO

컨슈머타임스=안우진 기자 | 인하대학교(총장 조명우)는 최근 조근식 컴퓨터공학과 교수가 대표로 있는 ㈜증강지능(Augmented Knowledge)이 세계적인 항공산업 행사인 'MRO 아시아태평양(MRO APAC) 2024'에서 '올해의 MRO(정비·수리·분해조립) 기술 성과 부문 수상을 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200여개의 항공산업 분야 글로벌 기업과 5천명 이상의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증강지능은 이번 행사에서 한국 기업 중 유일하게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증강지능은 조근식 인하대 컴퓨터공학과 교수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스핀오프(Spin-off)돼 만들어진 기업이다.
증강지능은 글라우드 기반 웹 콘텐츠 'AK VIEW'와 3D 스마트글라스 전용 콘텐츠 'AK GO'를 선보이며 항공기 유지보수·정비 분야에 혁신을 가져왔다.
AK GO는 가상의 항공기가 정비 매뉴얼의 지식을 이해하고 사람과 음성 인식을 하면서 항공 정비·분해·조립을 시뮬레이션으로 보여준다. 3차원 홀로그램 항공기와 ChatGPT처럼 대화가 가능한 것이다.
증강지능이 제공하는 AK VIEW는 고가의 장치나 설비가 없이 기존 PC, 테블릿 기기, 스마트폰을 통해 학생들에게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항공 정비 교육·훈련을 가능하게 한다.
학생들은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인터넷이 되는 곳이면 어디서나 B737-800NG, B737 MAX8, A321 family 등의 부품 장·탈착과 항공기 이착륙시 PRPO 검사에 대한 자기주도적 정비 학습이 가능하다. 이는 항공 정비 교육이나 훈련의 측면에서 혁신적 전환점으로 볼 수 있다.
더 나아가 AI 기반 디지털 트윈 기술은 정비 매뉴얼의 지식을 바탕으로 인공지능이 정비에 필요한 지시사항을 숙지하고, 명령어와 더불어 디지털 트윈과 함께 작업자에게 자동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존 매뉴얼에 비해 작업시간을 50%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애니메이션을 활용해 실제 항공기 없이도 작업 절차를 시각화해 정비 매뉴얼을 빠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증강지능 대표인 조근식 컴퓨터공학과 교수는 "2차 세계대전부터 사용하고 있던 현재의 항공기 매뉴얼은 운전에 비유하면 종이맵에 의존해서 운전하던 것과 같다"며 "AI 기반의 디지털 트윈을 활용해 정비하는 것은 자동차 내비게이션을 이용해 운전하는 것은 혁신으로 항공 MRO 산업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