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내 車리콜 역대 '최다'…인기차종 중심 제작 결함 다수
상태바
올해 국내 車리콜 역대 '최다'…인기차종 중심 제작 결함 다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14만대로 종전 기록 324만대 훌쩍 넘겨
전기결함 120만대에 역대 최대 EV 리콜도
연도별 리콜 대수 [사진=자동차리콜센터]
연도별 리콜 대수 [사진=자동차리콜센터]

컨슈머타임스=강나연 기자 | 올해 국내에서 차량 제작 결함으로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수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기 차종을 중심으로 제작 결함이 다수 발견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23일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리콜센터에 따르면 올해 시정조치에 들어간 차량은 총 1684종, 514만2988대다.

작년(169만1870대)의 3배 규모로, 종전 최대치였던 2022년의 324만7296대를 뛰어넘었다.

제작사별로 살펴보면 현대자동차그룹(이하 현대차그룹)이 현대자동차(245만6959대)와 기아(161만7725대)를 합쳐 총 407만4684대로 전체의 79.2%를 차지했다.

이어 BMW코리아가 7.0%(35만8212대), 테슬라코리아가 4.1%(21만136대)였고 르노코리아(2.6%·13만3760대)와 메르세데스 벤츠코리아(2.3%·11만5933대)도 각각 10만 대를 넘겼다.

결함 부위별로 살펴보면 제동장치가 213만529대로 가장 많았고, 전기장치(120만2928대), 동력발생장치(44만7572대), 동력전달장치(28만1763대) 등의 순이었다.

리콜 규모가 급증한 이유는 단기적 상황 요인과 장기적 추세 요인이 결합한 결과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먼저 현대차그룹의 인기 차종에서 제작 결함이 다수 발견되면서 리콜 규모도 자연스럽게 커졌다는 해석이다. 올해 현대차그룹의 리콜 비중(79.2%)은 2013년(89.5%·92만8242대)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지난 5년(2019∼2023년) 동안 현대차그룹의 평균 비중은 61.3%였다.

차종별로는 그랜저(34만8651대)와 싼타페(20만3793대)가 전자제어유압장치(HECU) 문제로 화재 발생 가능성이 제기됐고, 쏘나타(하이브리드 포함)는 에어백 제어장치 오류로 31만2744대가 리콜됐다.

기아에서는 K5(하이브리드 포함)가 HECU와 에어백 제어장치 오류로 각각 21만283대, 12만2178대가 리콜됐다. 스포티지, 쏘렌토, 포르테 등에서도 다수의 결함이 발견됐다.

교통안전공단 관계자는 "인기 차종이 많이 리콜돼서 규모가 자연스레 늘어났다"며 "반대로 인기 차종이 안 걸린 해에는 리콜 대수가 적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자동차의 전장화와 전동화 과정에서 제작 결함이 늘어난 측면도 있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김필수 대림대 교수는 "자동차가 옛날처럼 단순한 기계 부품이 아니라 전기·전자의 융합 제품이기 때문에 굉장히 복잡해졌다"면서 "소프트웨어 등 예상하지 못한 문제가 많이 발생한다"고 전했다.

김 교수는 "리콜이 선제적인 조치로서 긍정적인 요소가 있다 하더라도 소비자에겐 불편한 것"이라면서 "제작사가 신차 테스트 등을 보강함으로써 리콜을 줄이는 노력을 더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