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전지 인재 수요 7년간 '증가세'…수도권 '절반' 차지
상태바
이차전지 인재 수요 7년간 '증가세'…수도권 '절반' 차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강나연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10일 이차전지 분야 국가전략기술 인재 산업 수요 분석 결과, 이차전지 분야 인재 수요가 2017년 2123건에서 작년 5227건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한국배터리산업협회 소속 173개 기업과 157개 관련 기업 중 2017년 1월~작년 11월 사이 채용공고가 있는 307개 기업의 이차전지 관련 1만1301건의 공고, 2만1111건의 모집 단위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이차전지 분야 기업은 학사 이하(78.8%), 공학계열(60.3%), 경력직(55.9%)의 수요가 가장 많았으며 수도권에 47%의 채용공고가 몰렸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에서 대부분 직무가 타지역 대비 많았으며 스마트 팩토리 운영에 필요한 데이터과학자(58.3%)와 소프트웨어(SW) 개발자(52.2%)가 특히 높았다. 충북·경북은 소재·셀·모듈·팩 생산 및 공정 기술 엔지니어에 대한 수요가 33%로 집계됐다. 대전 지역은 석·박사 선호(37.9%)가 전국 평균(7.8%) 대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별로는 관련 기업의 시설 투자 확대에 따라 지난 7년간 소재·셀·모듈·팩 생산 및 공정 기술 엔지니어(연평균 33%↑)와 소재 개발자(연평균 25%↑)에 대한 수요가 가장 크게 증가했으며, 두 직무 모두 현업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경력직 선호 현상이 두드러졌다.

연구개발(R&D) 직무의 경우 석·박사 인력의 요구 비중이 높았고, 이차전지 핵심 개발 직무는 자연계열에 대한 선호, 수도권 이외 충북의 인력 수요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분석을 토대로 6가지 정책 제언을 도출했으며 관계부처와 함께 내년 관련 정책과 사업 추진에 반영해 나갈 예정이다.

정책 제언은 △소관 부처의 이차전지 인력양성 특화사업 확대 필요 △'차세대 전지'와 '리튬이온전지' 간 균형 있는 R&D 투자 검토 필요 △이차전지 산업의 직무 수요를 반영한 세심한 R&D 기획 강화 △다양한 직무역량을 갖춘 유연한 전문 인재 양성 필요 △유관 산업 경력자의 재교육을 지원할 수 있는 인력양성 사업 필요 △이차전지 사업 기획·추진 시 지역별로 예정된 기업 수요 고려 필요 등이다.

분석 결과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산하 미래인재특별위원회에서 심의·확정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