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양극화 심화…상위 1채로 하위 5.5채 구매 가능
상태바
서울 아파트 양극화 심화…상위 1채로 하위 5.5채 구매 가능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김동현 기자 | 집값 양극화가 더욱 심화하며 서울 아파트 가격 상위 20%와 하위 20%의 격차가 역대 최고 수준으로 벌어졌다.

3일 KB국민은행의 월간 주택 시계열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지역 아파트값 5분위 배율은 5.5다. 다시말해 상위 20% 아파트 1채로 하위 20% 아파트 5.5채를 살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2008년 12월 통계 조사 이래 역대 최대다.

5분위 배율은 주택가격 상위 20% 평균(5분위)을 하위 20% 평균(1분위)으로 나눈 값으로, 고가주택과 저가주택 간의 가격 격차를 나타내는 지표다.

서울 아파트 5분위 배율은 지난 2022년 12월 4.5에서 올해 4월 5.0으로 확대됐다. 이후 지난 8·9월에는 두 달 연속 5.4를 기록했고, 지난달에 5.5배로 격차가 커졌다.

이는 고가와 저가 아파트 간의 양극화가 더욱 심화한 탓이다.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으로 인기지역 고가 아파트 위주로 가격이 크게 오른 여파다.

전국의 아파트 5분위 배율은 10.93으로 역시 역대 최대 격차를 이어갔다. 상위 20% 아파트 1채로 하위 20% 아파트를 11채 가까이 살 수 있는 셈이다.

3분기 기준 서울의 가구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PIR·Price Income Ratio)은 중간 수준인 3분위를 기준으로 9.8을 기록했다. 지난 2분기 10.3에서 3분기 들어 10년 이하로 하락한 것이다. 전국 기준 PIR도 2분기 4.7에서 3분기에 4.5로 떨어졌다.

PIR은 주택 가격을 가구 소득으로 나눈 수치다. 중산층이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9.8년을 모아야 중간 가격 수준의 집을 마련할 수 있다는 의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