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강설·결빙 상황 대응" 인천시, '제설대책' 본격 가동
상태바
"겨울철 강설·결빙 상황 대응" 인천시, '제설대책' 본격 가동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친환경 중심 제설 대책 ... 작년 대비 친환경 제설제 1,834톤 추가 확보
자동제설장치 132곳 설치, 295개 주요 관리 구간 선제적 대응
스마트 재난안전상황시스템 활용해 관내 도로상황 실시간 모니터링
미추홀구 문학지하차도 측도 자동제설장치(도로열선시스템)-(사진제공=인천시)
미추홀구 문학지하차도 측도 자동제설장치(도로열선시스템)-(사진제공=인천시)

컨슈머타임스=안우진 기자 | 인천시(시장 유정복)는 겨울철 강설과 결빙 상황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한 단계 앞선 예방 중심의 제설작업을 추진하기 위해 '2024년 도로부문 설대비 제설대책'을 수립하고 시행한다고 밝혔다.

인천시는 11월 15일부터 내년 3월 15일까지 4개월을 제설대책 기간으로 정했다. 제설 도로 구간별로 경제자유구역청이 206km, 시 종합건설본부가 56km, 군·구가 2,931km를 맡아 관리한다. 인천시 종합건설본부는 군·구에 제설제 2천 톤과 제설 장비 28대를 지원해 제설작업을 돕는다.

이번 겨울철을 대비해 인천시는 제설 장비 1,154대와 제설제 18,297톤을 확보하고 특히 염화칼슘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해 친환경 제설제 9,051톤을 준비할 예정이다. 이는 지난해 대비 1,834톤 증가한 양으로 친환경적인 제설 대책을 강화한 것이다.

구체적인 제설 대응 방안으로는 강설 예보 시 예비 살포 기준에 따라 제설제를 사전에 살포해 눈이 쌓이기 전 도로 결빙을 방지하고 초기 적설에 대비한다. 강설 시에는 기온, 적설량, 교통정보, 도로조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각 도로의 제설 수준을 설정하고 신속하게 작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인천시는 295개 주요 관리구간을 지정해 장비·인력·자재를 사전 배치하고 자동 제설 장치 132곳과 제설 전진기지 29곳을 운영해 신속한 대응을 지원한다.

또한 인천시 스마트 재난안전상황시스템을 활용해 관내 폐쇄회로(CC)TV 23,146대를 통해 도로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시·군·구 및 민간 담당자 간 제설 상황을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체계를 구축했다.

김인수 인천시 교통국장은 "제설대책 기간 전 수능일에는 교통량 증가가 예상되므로 기상 상황을 주의 깊게 살피겠다"며 "강설 예보 시 선제적으로 대응해 도로 안전을 확보하고 교통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