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LG생건·애경, 中 의존도에 따라 3분기 실적 '희비'
상태바
아모레·LG생건·애경, 中 의존도에 따라 3분기 실적 '희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아모레, 북미 등 해외시장 개척…개선된 성적표 받아
LG생건·애경, 중국 시장이 발목 잡아…아쉬운 성적표
사진=연합뉴스

컨슈머타임스=김유영 기자 |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 애경산업 등 국내 뷰티 공룡 3사의 올해 3분기 실적을 두고 '희비'가 엇갈렸다.

아모레퍼시픽은 북미 등 해외시장을 개척하며 나아진 성적을 낸 반면, LG생활건강과 애경산업은 중국 시장이 발목을 잡으며 다소 아쉬운 성적표를 받았다.

뷰티 3사 모두 중국 시장과 면세 매출 부진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향후 '해외시장 다변화'가 실적의 핵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올해 3분기 매출 1조681억원과 영업이익 750억원을 기록했다고 지난달 31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160% 상승했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은 라네즈, 설화수, 이니스프리 등 주요 브랜드들이 북미에서 좋은 실적을 거뒀고, 서구권 매출 비중이 높은 코스알엑스의 실적 편입 효과를 톡톡히 봤다. 

그 결과, 미주 매출은 108% 증가하고 유럽·중동·아프리카(EMEA)에서 339% 매출이 확대됐다. 기타 아시아 지역 역시 활발한 신규 브랜드 진출과 함께 코스알엑스 편입 효과로 52% 매출 성장세를 나타냈다.

반면 중화권의 경우 주요 이커머스 채널 거래 구조 변경 및 오프라인 매장 정예화로 전체 매출이 하락하고, 사업구조 개선 작업으로 적자폭이 확대됐다.

아모레퍼시픽 관계자는 "성장 잠재력이 큰 미국, 일본, 영국, 인도 등을 글로벌 거점 시장으로 설정해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중국 사업은 구조 재편과 경쟁력 확보에 힘쓸 것"이라며 "유통 채널의 최적화 등 집중해야 할 사업 영역의 재정의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동력을 확보해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아모레퍼시픽이 중국보다 북미 등 해외시장 다변화에 집중하고 있다면 LG생활건강은 '더후' 리브랜딩 등을 통해 중국발 부진에 '정면돌파'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LG생활건강과 애경산업의 영업이익은 동반 하락했다.

LG생활건강은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매출이 1조713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1061억원으로 17.4% 감소했다.

LG생활건강은 면세점 업황 둔화와 해외 사업 효율화 영향으로 매출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정한솔 대신증권 연구원은 "LG생활건강은 중국 매출 반등을 통해 화장품 부분 실적 회복을 예상했으나, '더후' 리브랜딩 비용과 중국 외 타지역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비용 확대로 수익성 악화가 지속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애경산업도 중국 수요 부진과 마케팅 투자 확대로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애경산업의 올해 3분기 매출액은 1653억원, 영업이익은 96억원을 기록,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0%, 48.0% 감소했다.

화장품사업의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5.2% 감소한 570억원, 영업이익은 53.2% 감소한 39억원을 기록했다.

애경산업은 향후 글로벌 소비자들의 성향과 시장 환경을 고려한 제품 개발과 함께 팝업스토어 등 소비자와 직접 만날 수 있는 마케팅을 강화하며 글로벌 시장, 특히 비중국 국가에서의 경쟁력을 지속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LG생활건강과 애경산업의 경우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해외 매출시장의 다변화가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