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 2조 기업 女임원, 2년 새 3%p 증가…대부분 사외이사
상태바
자산 2조 기업 女임원, 2년 새 3%p 증가…대부분 사외이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김지훈 기자 | 국내 자산 2조원 이상 상장사의 여성 등기임원 비중이 최근 2년 새 3.0%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 이들 중 대부분은 사외이사로 파악됐다.

2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에 따르면 자산총액 2조원 이상 상장사 196곳을 대상으로 등기임원 현황을 비교한 결과, 이들 기업의 여성 등기임원은 2022년 6월 말 172명(13.1%)에서 지난달 말 226명(16.1%)으로 54명(3.0%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여성 사외이사는 2022년 6월 말 160명에서 지난달 말 208명으로 48명 증가했는데 올해 기준 전체 여성 등기임원의 92.0%가 사외이사인 셈이다.

다만 2022년 6월 말(93.0%)과 비교하면 여성 사외이사 비중은 1.0%포인트 감소했다.

남성 등기임원은 같은 기간 1144명에서 1174명으로 30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남성 사외이사는 620명에서 634명으로 늘었으나 비중은 54.2%에서 54.0%로 0.2%포인트 줄었다.

이는 2020년 개정된 자본시장법이 유예기간 2년을 거쳐 2022년 8월부터 시행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개정 자본시장법은 자산총액 2조원 이상 상장기업은 이사회 전원을 특정 성별로만 구성해서는 안 된다고 규정한다.

하지만 이 같은 규정에도 9월 말 기준 여성 등기임원이 단 한 명도 없는 곳은 13곳이나 됐다. 2022년 6월 말에는 22곳으로 파악됐다.

KCC와 넥센타이어, KG스틸, 에스디바이오센서, 코오롱글로벌, HDC, 삼양홀딩스 등 7곳은 2년간 여성 등기임원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현대오토에버와 CJ제일제당은 각각 지난 7월과 8월 임기만료 전 자진 사임으로 현재 여성 등기임원이 없는 상태다.

여성 등기임원이 2인 이상인 기업은 2022년 19곳에서 올해 43곳으로 24곳 증가했다.

여성 등기임원이 가장 많은 기업은 크래프톤과 카카오(이상 각 4명)로 나타났으며, SK아이이테크놀로지와 SK이노베이션, 기아, 아모레퍼시픽(이상 각 3명) 등이 뒤를 이었다.

9월 말 기준 등기임원 여성 비율이 50%를 상회하는 기업은 크래프톤(57.1%), 카카오(50%), SK아이이테크놀로지(50%) 등 3곳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