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재지변에도 환불 NO…숙박 피해 10건 중 8건은 '위약금 불만'
상태바
천재지변에도 환불 NO…숙박 피해 10건 중 8건은 '위약금 불만'
  • 안솔지 기자 digeut@cstimes.com
  • 기사출고 2024년 08월 30일 08시 33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안솔지 기자 | 추석 연휴를 맞아 귀성 또는 여행 수요가 늘면서 숙박시설 이용에 따른 소비자 피해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최근 3년간(2021년~2023년)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숙박시설 이용 관련 소비자 피해구체 신청은 총 4118건이다. 2021년 1047건, 2022년 1428건, 2023년 1643건 등으로 매년 증가 추세다. 

숙박시설 이용 관련 피해구제 신청 사유를 보면, 10건 중 8건은 계약 해제 시 위약금 불만이 78.5%로 가장 많았다. 일부 숙박시설에서 사전에 환불 불가 약관을 고지했다는 이유로 계약취소 요청 시점과 관계없이 무조건 환불을 거부하는 경우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에서는 계약 체결일로부터 7일 이내에 청약철회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다만, 이용 예정일에 임박해 취소하는 경우에는 재판매 불가 등의 사유로 청약철회가 제한될 수 있어 유의해야 한다.

그 밖에는 위생·안전·부대시설 등 이용 관련된 불만이 11.9%, 숙박 이용 관련 정보제공 미흡 6.2% 등의 순이었다. 

최근 3년간 주요 숙박 플랫폼 7개를 통해 체결한 숙박시설 이용계약 관련 피해구제 신청은 2374건으로 전체 건수 중 57.6%를 차지했다. 

해당 플랫폼은 여기어때, 아고다, 야놀자, 네이버, 에어비앤비, 부킹닷컴, 티몬으로, 최근 3년간 피해구제 신청이 100건 이상인 곳이다.

이 중 여기어때 관련 피해구체 신청건수가 523건으로 제일 많았다. 이어 아고다 505건, 야놀자 502건, 네이버 358건, 에어비앤비 309건, 부킹닷컴 111건, 티몬 105건 순이었다.

최근 3년 동안 에어비앤비를 제외한 6개 플랫폼 모두 신청 건수가 증가하는 추세로, 특히 아고다는 2년 연속 배 이상 큰 폭으로 증가했다 .

주요 7개 플랫폼의 합이율은 64.8%로 전체 숙박서비스 평균 합의율(56.9%) 보다 7.9%p 높지만, 플랫폼별 합의율을 큰 차이가 있었다. 에어비앤비가 89.3%로 가장 노았으며 부킹닷컴이 39.6%로 가장 낮았다. 

합의율은 환급, 배상, 계약해제 등 피해회복에 합의한 비율을 말한다. 

한국소비자원은 관련 소비자피해 예방을 위해 숙박시설 이용계약 체결 시 △사업자가 게시한 환불 조항을 꼼꼼하게 살펴볼 것 △이용 일정, 이용 인원, 숙박시설 정보 등을 정확히 확인할 것 △예약 확정서 또는 예약 내역 등을 보관할 것 등을 당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