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슈머타임스=안솔지 기자 | 지난달 김 물가 상승폭이 6년 4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김 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17.8% 올랐다. 이는 2018년 1월 19.3% 이후 6년 4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김 물가 상승률은 지난 1월 1.2% 수준이었으나, △2월 3.1% △3월 6.6% △4월 10.0% 등 오름세를 지속하다 지난달 17.8%로 급등했다.
가공식품인 맛김 물가도 8.1%로 2022년 11월(8.4%) 이후 1년 6개월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1월 -1.0% △2월 2.5% △3월 1.5% 등 등락을 거듭하다 4월(6.1%)부터 상승폭이 커지고 있다.
김을 많이 사용하는 김밥 물가는 5.2%로 전달(5.3%)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김밥 물가 상승률은 외식 세부 품목 39개 중 떡볶이(5.4%)와 도시락(5.3%)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다.
지난달 김 등의 물가 상승폭이 커진 것은 외국에서 김과 김밥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수출이 늘어난 영향이다. 이에 따라 국내 공급은 줄고 김의 가공 전 원료인 원초 가격은 크게 올랐다.
관세청 무역통계를 보면 지난해 김 수출량은 1만8599톤으로 전년 대비 12.4% 늘었다. 올해 1~4월 김 수출량도 6443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9.4% 증가했다.
여기에 일본과 중국의 김 원초 작황 부진으로 국내산 마른김 수요가 늘어난 것도 김 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전날 마른김의 중도매인 판매가격은 1속(100장) 당 1만700원 정도로 1년 전보다 56.3% 올랐다. 평년(6288원)보다는 70.2% 높다. 마른김(중품) 10장 소매가격은 1231원으로 1년 전 대비 21.9% 올랐다. 이는 일부 할인이 반영된 가격이다.
업계에서는 당분간 조미김 가격도 고공행진할 것으로 보고 있다.
동원F&B는 지난 1일부터 '양반김' 등 조미김 가격을 평균 15% 인상했고 CJ제일제당은 지난달 초 김 가격을 11~30% 올렸다. 조미김 전문업체 광천김, 대천김, 성경식품 등도 앞서 주요 제품 가격을 인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