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지붕 교체·흰개미 피하려 주변 초목 제거 도움 된 듯

[트위터 발췌. 재판매 및 DB 금지]
100여년 만의 최악의 산불로 황폐해진 미국 하와이 라하이나에서 온전한 모습을 유지한 '빨간 지붕 집'은 어떻게 거센 불길을 피할 수 있었을까.
21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LA타임스와 영국 BBC 방송 등 외신들은 이번 산불의 주요 피해 지역인 라하이나의 프론트스트리트에 있는 이 집이 잿더미 속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던 이유를 조명했다.
흰색 외벽에 빨간 지붕을 한 이 주택은 폐허가 된 마우이섬 상공을 촬영한 사진 속에 마치 '포토샵'으로 합성한 듯 유일하게 멀쩡한 모습으로 포착돼 소셜미디어에서 큰 화제가 됐다.
초기에는 콘크리트로 지어지는 등 건축기법이 달랐을 것이라는 추측이 나왔지만, 알고 보니 이 집은 100년 된 목조건물로 밝혀졌다.
집주인인 트립 밀리킨과 도라 애트워터 밀리킨 부부는 2년 전 이 주택을 사들였다. 이전에는 사탕수수 농장 회계담당자의 집으로 사용됐다고 한다.
산불이 났을 때 매사추세츠주(州)의 친척 집을 방문 중이어서 화를 면한 밀리킨 부부는 자신들의 집이 어떻게 피해를 면했는지 의아하다고 말했다.
100% 나무로 만들어진 데다 따로 방염처리를 한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스프링클러가 설치돼있긴 하지만 주변 다른 주택들도 마찬가지였고 불길이 번질 당시에는 전기가 끊어져 대부분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밀리킨 부부는 다만 집 일부를 개조한 게 화마를 피하는 데 도움이 됐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들은 2021년 집을 매입한 뒤 아스팔트 지붕을 금속으로 교체하고 집 주변을 자갈 등 돌멩이로 둘렀다. 주변에 무성하던 초목도 제거했다.
화재 예방보다는 흰개미를 차단하고 훼손된 부분을 복원하려 한 조치였는데 자연스럽게 '불에 강한' 주택이 된 걸로 보인다고 밀리킨 부부는 말했다.
이들은 "산불 당시 불붙은 나뭇조각들이 강풍에 날아다니다 건물에 부딪혔는데 아스팔트 지붕이었다면 불이 번졌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불타기 쉬운 주변 초목을 제거해둔 것과 자신들의 집이 주변 다른 건물에서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있으면서 바다, 도로, 공원 등에 둘러싸인 점도 화마를 피하는 데 기여했을 것이라고 이들은 지적했다.
실제로 전문가들은 화재 방지를 위해 집 주변 약 1.5m 안에 있는 가연성 초목을 제거하고 돌이나 자갈로 교체하라고 조언한다고 LA타임스는 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