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여권 정보유출, 국방부-경찰청 등 안보 당국자도 '털렸다'?
상태바
전자여권 정보유출, 국방부-경찰청 등 안보 당국자도 '털렸다'?
  • 강윤지 기자 yjkang@cstimes.com
  • 기사출고 2011년 09월 19일 11시 28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전국 41개 인권단체로 결성된 인권단체연석회의 관계자들이 지난2008년 9월30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 중앙청사 별관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간단한 통신장비와 컴퓨터 프로그램만으로도 전자여권에 전자칩 형태로 담긴 개인정보가 손쉽게 노출될 수 있다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다. <자료사진>

전자여권 신청자의 개인정보 92만여 건이 외부로 유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19일 조선일보 보도에 따르면 한나라당 김호연 의원은 지난해 8~11월 전자여권 신청자 92만여 명의 주민번호와 여권번호, 여권발급일과 만료일 등 개인 신상정보가 여권발급기 운용업체 M사 직원들에 의해 이 회사 본사로 유출됐다고 18일 밝혔다.

신상 정보가 유출된 사람 중에는 국무총리와 장관,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와 국방부, 국가정보원 등 안보 부서 고위 당국자 등 공무원 4600여명이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국정원(65명), 국방부(999명), 육군본부(285명), 경찰청(39명) 등 안보 부서 당국자들도 상당수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신문은 "조폐공사 여권발급실은 최고 등급의 보안 지침이 적용되는 국가 보안시설인데 보안에 구멍이 뚫린 것"이라고 지적했다.
조폐공사 보안 규정에 따르면 여권 신청자의 신상 정보는 여권 제작 후 조폐공사 전산 서버에서 곧바로 삭제돼야 하지만 M사 직원들은 여권발급기 부품 교체주기를 파악한다는 명목으로 개인정보를 매주 본사로 보낸 것으로 드러났다.

컨슈머타임스 강윤지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