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천300년된 이집트 소년 미라 CT 찍어보니…부적 49개 드러나
상태바
2천300년된 이집트 소년 미라 CT 찍어보니…부적 49개 드러나
  • 인터넷팀 admin@cstimes.com
  • 기사출고 2023년 01월 25일 13시 37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황금 혀·이시스 매듭 등 부적 온몸에…"사후세계서 신체 보호"
14∼15세 계란형 얼굴…사회적 지위 높았을 듯
황금 소년 미라에서 발견된 부적
2천300년된 황금 소년 미라 컴퓨터단층촬영(CT) 사진이 24일(현지시간) 공개됐다. 

2천300년 전 사망한 이집트 소년의 미라를 컴퓨터단층촬영(CT)으로 분석 결과 황금 등으로 화려하게 치장된 수십 개의 부적이 발견됐다고 25일(현지시간) 미국 CNN 방송이 보도했다.

이 '황금 소년' 미라는 기원전 332년에서 기원전 30년 사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공동묘지 나그 엘-하사이에서 1916년 처음 발굴됐다.

하지만 이후 오랜 기간 조사가 진행되지 않은 상태로 박물관 지하에 보관됐다. 내부를 살펴보려 미라를 풀어헤치는 것 자체로 시신이 훼손되기 때문이다.

최근 미라에 접촉하지 않고도 내부를 살펴볼 수 있는 CT 스캔 방식이 도입되며 '황금 소년'의 모습이 마침내 세상에 알려지게 됐다.

CT 촬영 결과 이 황금 미라는 총 2개의 관으로 감싸인 형태로, 안쪽 나무관에는 금박을 입힌 얼굴 무늬가 새겨진 것으로 파악됐다.

소년의 나이는 사망 당시 14∼15세, 키는 128㎝ 정도로 추정됐다. 작은 코와 좁은 턱, 계란형 얼굴을 가진 아이였다.

특히 CT 사진에서는 소년의 입과 가슴 등에서 총 21가지 모양을 가진 다양한 부적 49개가 발견됐다.

대부분 금으로 만들어졌고, 준보석이나 구운 점토, 도자기 등이 쓰인 부적도 있었다.

황금 소년 미라 CT 사진
2천300년된 황금 소년 미라 컴퓨터단층촬영(CT) 사진이 24일(현지시간) 공개됐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사후세계로 가려면 위험한 지하세계를 통과해야 한다고 믿었고, 부적을 통해 그 여정을 떠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했다.

카이로대 사하르 살림 교수는 소년의 몸에서 발견된 부적의 목적이 "사후세계에서 신체를 보호하고 생명력을 부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소년의 신원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치아 상태와 미라의 기술 수준, 부적들에 비춰 사회적 지위가 높았음을 짐작할 수 있다고 CNN은 전했다.

<연합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