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A, 조직혁신 '단행'..."디지털플랫폼정부·디지털 전략 지원체계 강화"
상태바
NIA, 조직혁신 '단행'..."디지털플랫폼정부·디지털 전략 지원체계 강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사기능 통폐합, 대팀제 전환 등을 통해 부서별 조직규모 축소
50개 팀, 1TF 규모에서 41개 팀 수준으로 개편
(사진제공=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사진제공=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컨슈머타임스 안우진 기자]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원장 황종성, 이하 NIA)은 1월 2일 정부의 공공기관 혁신정책을 적극 이행하고 디지털플랫폼정부와 대한민국 디지털 전략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대대적 조직혁신을 전격 단행했다고 밝혔다.

NIA는 강력한 혁신 의지에 따라 취임 직후부터 대대적 조직진단을 실시하고 국정과제 지원 기능 강화, 유사기능 통폐합 등을 통해 조직을 20% 이상 감축하고 핵심 기능에 인력을 재배치하는 등 조직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특히 이번 조직혁신은 윤석열 대통령의 뉴욕 구상(2022년9월)과 대한민국 디지털 전략을 총력 지원하기 위해 조직역량을 재정비하고 새로운 디지털 정책과 사업을 과감하게 추진하기 위한 기반을 다지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와 관련해 이미 지난 11월에는 디지털플랫폼정부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정책기획 및 로드맵 수립, 민관협력 플랫폼 정부 서비스 발굴 등을 수행하는 신규 본부를 조기 신설하며 디지털 분야 국정과제를 전사적으로 지원하는 체계를 갖춘 바 있다.

그 후속으로 이번 조직혁신은 △디지털플랫폼정부 조기 구현  △AI 데이터 정책 및 국가 데이터 인프라 고도화  △新 디지털포용 사회 촉진  △디지털 서비스 해외 수요 창출 △디지털 기반 ESG 선도 등 굵직한 미래 핵심과제를 중심으로 대대적인 기능조정과 혁신이 이뤄졌다.

이번 조직개편으로 NIA는 기능단위의 소팀제에서 중·대팀제로 전환하고 조직을 당초 50개 팀, 1TF 규모에서 41개 팀 수준으로 개편해 이에 따른 간부직 정원도 대폭 감축하였다. 

NIA 황종성 원장은 이번 조직혁신을 계기로 "NIA를 세계 최고 수준의 디지털 대전환 선도기관으로 만들기 위해 디지털플랫폼정부의 성공적인 구현, AI 데이터 인프라 강국 실현, 新 디지털 포용사회 촉진, 디지털 서비스 해외 진출 지원 등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