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행 정점 20만명 내외 가능성…거리두기 조치 없이 대응 가능"
상태바
"유행 정점 20만명 내외 가능성…거리두기 조치 없이 대응 가능"
  • 인터넷팀 admin@cstimes.com
  • 기사출고 2022년 07월 29일 14시 14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행상황 중대한 변화시 부분적 사회대응 조치 도입 검토"
코로나19 정례브리핑하는 백경란 질병관리청장

정부는 코로나19 재유행의 정점이 당초 예상보다 낮은 하루 확진자 20만명 수준에서 형성될 수 있다고 전망하면서 강제적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 없이 대응 가능하다고 판단했다.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은 29일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당초 예상보다 낮은 20만명 수준의 정점이 예상보다 조기에 형성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앞서 지난 15일 상황을 기준으로 판단했을 때 BA.5 확산으로 인한 코로나19 유행이 8월 중순∼말에 25만명 내외에서 하루 최다 확진자가 발생할 수 있다고 예상한 바 있다.

그러나 새로 등장한 오미크론 세부계통 BA.2.75 변이의 영향이 예상보다 크지 않고, 최근 증가세가 다소 둔화한 흐름이 나타나 정점 전망치도 수정되고 있다.

코로나19 사망자도 지난해 델타 변이 유행 당시와 비슷하거나, 올 초 오미크론 유행 때 최다치인 400명대보다는 낮은 수준으로 발생할 것으로 정부는 전망하고 있다.

정부는 당초 하루 확진자가 하루 30만명까지 발생할 것에 대비하겠다며 지난 13일과 20일 재유행 대비 방역대응방안을 마련해 발표한 바 있다.

일상회복을 유지하면서, 임시선별진료소와 원스톱진료센터, 전담 병상을 확충하고, 4차접종 대상을 확대하는 것 등이 골자다.

백 청장은 "예측 범위 이내로 유행이 전개되면 인원·모임 제한 같은 일률적인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 없이 준비된 방역의료역량으로 대응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강조했다.

백 청장은 "신규 변이 유행과 시간경과에 따른 예방접종 효과 감소 등으로 확진자는 당분간 증가할 것"이라면서도 "예방접종률 향상과 먹는치료제 처방률 제고 등에 힘입어서 의료대응 체계는 안정적으로 운영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다.

<연합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