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 점검…"맞춤대책 수립"
상태바
LH, 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 점검…"맞춤대책 수립"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라뫼공원 전체 전경.
자라뫼공원 전체 전경.

[컨슈머타임스 장용준 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28일 LH 경기지역본부에서 김현준 LH사장, 국토도시개발본부장, 신도시 담당 사업본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광역교통개선대책 특별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최근 2기 신도시의 광역교통개선대책 사업의 지연 원인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해결방안 등을 강구하기 위해 마련됐다고 LH는 설명했다.

광역교통개선대책은 대도시권 광역교통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신도시 등 대규모 개발사업(면적 50만㎡ 또는 인구 1만명 이상)에 따른 교통문제 최소화를 위해 수립하는 광역교통망 구축계획이다.

2기 신도시의 광역교통개선대책 사업은 현재 149개(도로 139, 철도 10)로 사업비는 총 26조4000억원 중 17조9000억원(67%)이 집행됐다. 이 가운데 LH가 부담하는 금액 10조3000억원 중 8조4000억원(81%)이 집행 완료됐다. 이외 기관이 부담하는 금액 16조1000억원 중 집행된 건 9조5000억원(58%)이다.

LH 광역교통개선대책의 주요 부진 사유로 "입주민의 적기 개통 요구가 가장 높은 철도사업의 경우 철도망구축계획 등 상위계획 수립이 장기간 소요됐다"며 "사업방식 전환(민자사업→공공사업), 복합화 사업 등 연계사업 지연에 따라 지연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도로사업의 경우에는 지역현안을 고려한 지방자치단체의 추가 요구사항 등에 따른 도로계획 확정 지연 등이 사업 지연의 주된 사유다.
 
지구별 부진사유로는 동탄2 신도시는 전체 23개 사업 중 LH가 시행하는 사업은 총 12개로 9곳은 공사가 마무리됐고, 3곳은 공사 중이다. 사업추진 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역의 추가 요청사항에 따른 협의 및 인허가 지연 등이 주된 사유다.

평택고덕 신도시 총 19개 사업 중 LH가 시행하는 사업은 총 11개로 5곳의 공사를 완료했다. 나머지 6곳의 공사를 추진하기 위해 보상 등 선행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수원 호매실 택지개발지구의 경우, 총 10개 사업 중 LH는 7곳의 사업을 담당한다. 수원 호매실 지구에서는 철도사업의 비중이 큰데 LH가 일부 사업비를 부담하고 별도 철도사업시행자가 사업을 실시한다. 현재까지 철도사업을 제외한 광역교통개선대책은 모두 완료됐다. 

LH는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의 128개 광역교통개선대책 수립지구에 대한 전수조사에 적극 협조해 광역교통 개선대책의 지연원인을 면밀히 분석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입주민 교통 불편 해소를 위해 지난해 지정된 광역교통 특별대책지구(동탄2, 수원 호매실, 평택고덕)에 대해 국토부, 지자체, 사업시행자 간 긴밀한 협의를 통해 입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광역교통 특별대책을 수립할 방침이다.

특별대책지구 외 지구들은 관계기관과 협의해 지구별 맞춤대책을 수립할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