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AI원팀 2차 기술성과 공개…"AI 로봇 혁신"
상태바
KT, AI원팀 2차 기술성과 공개…"AI 로봇 혁신"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 김동역 기자] 대한민국 인공지능(AI) 1등을 위한 산∙학∙연 협의체인 'AI 원팀'이 두 번째 공동 연구개발(R&D) 성과를 공개했다.

KT가 AI원팀의 산학연 공동연구를 통해 4종의 AI 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4종의 기술은 '로봇 실내 공간지능' 기술, '로봇 소셜 인터랙션' 기술, '보이스 클로닝' 기술, '한국어 E2E 음성인식 트랜스퍼 러닝' 기술로 KT AI 사업 및 서비스에 활용한다.

AI 원팀은 지난 2020년 2월 출범 이후 40여명의 국내 AI 전문가 그룹인 'AI 구루(Guru) 그룹'을 구성해 현안 해결 프로세스 '라운드테이블(Round Table)'에서 기업의 난제 해결을 논의해왔다. 그 결과 산학연 공동 연구과제가 결정돼 지난 해 무빙 픽처, 딥러닝 음성합성 등 4개 기술을 개발해 공개한 바 있으며, 이번엔 4개 AI 기술을 추가로 개발했다.

AI 원팀은 KT를 비롯해 현대중공업그룹, LG전자, 한국투자증권, 동원그룹, 우리은행, ㈜한진,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양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까지 총 10개 산학연이 참여하고 있다. 특히 KT, KAIST, 한양대, ETRI가 협업해 '초거대 AI'를 개발 중이다.

KT AI/DX융합사업부문장 송재호 부사장은 "AI 연구 전문성을 갖고 있는 대학과 산업을 이끌고 있는 기업의 산학 연구는 AI 경쟁력을 강화하는 길"이라며, "올해도 AI원팀에서 연구기관, 기업, 스타트업 간의 협력을 통해 시너지를 내고 AI 국가 경쟁력을 높이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