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 홀텍사와 전략적 협업으로 미국 원전해체 사업 진출
상태바
현대건설, 홀텍사와 전략적 협업으로 미국 원전해체 사업 진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윤영준 현대건설 대표이사 사장(오른쪽)이 홀텍社 크리스 싱 CEO와 사업 협력 계약 서명을 하고 있다. [사진=현대건설 제공]
윤영준 현대건설 대표이사 사장(오른쪽)이 홀텍社 크리스 싱 CEO와 사업 협력 계약 서명을 하고 있다. [사진=현대건설 제공]

[컨슈머타임스 장용준 기자] 현대건설이 미국 홀텍사와 전략적 협업을 통해 국내 기업 최초로 미국 원전해체 사업에 진출한다.

현대건설은 지난 28일(현지시간) 뉴욕 주에 위치한 홀텍사 소유의 인디안포인트 원전해체 사업에 PM(Project Management) 계약을 포함한 원전해체 협력 계약(Teaming Agreement)을 체결했다.

이번 PM계약을 통해 공정 및 공사계획, 대형기기 부피감용, 화학 제염, 원자로 압력용기 및 내장품 절단 등 원전해체의 전반적인 사업 분야에 직접 참여하게 된다고 현대건설 측은 설명했다.

이는 지난해 11월 소형모듈원전(SMR-160 모델) 글로벌 독점계약에 이어 약 4개월 만에 이뤄진 성과다.

양사는 글로벌 시장에 대한 사업 협력 계약을 통해 △홀텍 소유 미국 원전해체 사업 직접 참여 △글로벌 원자력 해체 시장 공동 진출 △마케팅 및 입찰 공동 추진 등 사업 전반에 합의했다.

미국 홀텍사는 미국 내 소유 중인 인디안포인트 원전, 오이스터크릭 원전, 필그림 원전 등  원전해체 사업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이 가운데 현대건설은 첫 번째로 인디안포인트 원전에 PM으로 참여할 예정이다.

인디안포인트 원전은 총 3개호기(2317MW용량)의 가압경수로 타입으로 1962년 10월 1호기 상업운전을 시작으로 2021년 4월 3호기가 영구정지됐다. 해당 원자력 발전소는 2021년 5월에 홀텍사로 소유권이 이전됐다.

현대건설 측은 "이번 원전해체 협력계약을 통해 초기단계부터 원전해체 사업에 참여해 선진 원전해체 기술을 축적할 수 있게 됐다"면서 "향후 발주가 예상되는 국내 원전해체 사업에 있어서도 선두자리를 확보할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날 체결식에서 윤영준 현대건설 사장은 "SMR과 원전해체 및 방사성 폐기물 관리 분야의 글로벌 선두주자인 홀텍사와 전략적 협업으로 사업 다각화 및 신사업의 핵심 경쟁력을 확보했다"며 "향후에도 안전과 품질을 최우선으로 한 기업경영으로서 선진 기술과 당사가 보유한 역량을 결합해 지속가능한 가치를 창출해 나갈 것이며, 진행 중인 SMR 등 에너지 전환 신사업 또한 미래 핵심 경쟁력으로서 선도적으로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