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작전하듯" vs "안보공백無"…'집무실 이전' 국방위서 격돌
상태바
"군사작전하듯" vs "안보공백無"…'집무실 이전' 국방위서 격돌
  • 인터넷팀 admin@cstimes.com
  • 기사출고 2022년 03월 22일 16시 24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두달 내 이전 가능?' 질문에 서욱 "정상적 절차라면 그렇게 하지 않을 것"

 

국방위 전체회의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용산 국방부 청사로의 대통령 집무실 이전 계획을 놓고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22일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격돌했다.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는 민주당 요구로 소집됐다.

민주당은 전두환 정권이 구성한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국보위)를 거론하며 윤 당선인의 집무실 이전 계획이 "졸속"이라고 총공세를 펼쳤고, 국민의힘은 민주당이 제기하는 "안보공백은 없다"고 맞섰다.

이날 현안보고를 앞두고 사보임을 통해 민주당은 강병원 의원을, 국민의힘은 박수영·허은아 의원을 국방위에 긴급 투입했다.

전날 윤 당선인의 집무실 이전 계획에 대해 청와대가 "무리"라며 공개 제동을 걸고 나서면서 신구 권력이 정면충돌한 데 이어, 국회에서도 정권교체기 여야가 힘겨루기하는 모양새다.

민주당 홍영표 의원은 "과거 국보위 이런 데서도 상상하지 못할, 군사 작전하듯이 졸속으로 이전하는 것에 큰 문제가 있고 안보 공백을 반드시 초래할 수밖에 없다"며 "이렇게 불과 열흘 기간을 주고 '방을 비워라'는 식은 국가안보와 국방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지금 국방부를 해체해 10개로 분산시킨다는 것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같은 당 김민기 의원은 "국민의 세금은 어느 누가 대장이 돼 내 맘대로 쓰는 돈이 아니다. 이건 쌈짓돈 쓰는 예가 된 것"이라며 "만약 국방부가 비대해져 어디로 이전을 해야 한다면 그런 것을 장관이 결심하고 이행하는 것이 두 달 내 가능하냐"고 질의했다.

이에 대해 서욱 국방장관은 "정상적인 절차라면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안보 공백은 없다"며 전날 청와대의 반대 논리를 방어하는 데 주력했다.

합동참모본부 차장 출신인 국민의힘 신원식 의원은 "제가 우연히도 지금 거론되는 3개 부서에서 15년 이상 주요 지휘자로 근무했다. 제가 있을 때는 국방부 지하실(벙커)은 운용 안 했다. 합참 벙커로 갔다"고 말했다. 국방부가 합참 건물로 이전하더라도 안보에 문제가 없다는 취지다.

같은 당 박수영 의원은 "북한이 올해 미사일을 10번 발사할 때마다 문재인 대통령은 NSC(국가안전보장회의) 회의에 미사일 관련해서 딱 한 번 참석했다. 그런데 어제 집무실 이전 관련한 NSC는 직접 주재하셨다"며 "북한의 미사일이 더 큰 안보 위협이지, 청와대의 국방부 용산 이전이 더 큰 안보 위협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비판했다.

<연합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