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제20대 대통령선거를 하루 앞둔 8일 모든 유권자가 참정권 행사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준비했다고 밝혔으나 대선 본투표에서도 사전투표와 같은 유사한 혼란이 재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계속 나오고 있다.
주 중반인 수요일에는 코로나 확진자가 급증하는 패턴을 보이는 가운데 코로나 확진·격리자가 얼마나 어느 투표소에 올지 가늠을 못 하고 있기 때문에 선관위의 뒷북 대책이 제대로 작동할지 예상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노정희 선관위원장은 이날 담화를 통해 "선관위는 심기일전하여 모든 유권자가 참정권 행사에 불편함이 없도록 준비하였고, 투·개표가 끝나는 순간까지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코로나19에 확진되었거나 격리중인 유권자를 위한 참정권 보장 대책도 재점검했다"고 말했다.
선관위에 따르면 코로나로 확진·격리된 유권자는 본투표일 오후 6시 일반 유권자 투표가 모두 끝난 뒤 투표소에서 자신이 기표한 투표지를 일반 유권자와 같은 투표함에 넣는 방식으로 한 표를 행사하게 된다.
이는 일반 유권자와 확진·격리자의 동선을 분리해 감염 우려를 불식하면서 사전투표에서 논란이 된 확진·격리자의 직접·비밀 투표를 보장하기 위한 방안이다. 선관위는 특히 확진자 투표를 일반 유권자 투표가 완전히 종료된 뒤에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그럼에도 오후 6시를 전후해 일반 유권자와 확진·격리자 동선이 겹칠 가능성이 크다.
현행법에 따라 일반 유권자는 마감 시각인 오후 6시까지 투표소에 입장하기만 하면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다. 질병관리청은 전날 선관위 요청에 따라 확진·격리자의 외출 개시 시간을 오후 5시 50분으로 늦췄지만 통상 유권자가 오후 5∼6시 사이 몰리는 경향을 보여왔다.
선관위는 일반 유권자가 투표를 마칠 때까지 이들이 분리된 별도 공간에서 대기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본투표를 하루 앞둔 상황에서 전국 투표소마다 충분한 대기 공간 확보가 완료됐는지 중앙선관위에서는 정확히 파악조차 하지 못한 상황으로 알려졌다.
건강 상태가 좋지 않은 확진·격리 유권자들이 사전투표 때처럼 충분하지 않은 대기 공간과 오랜 대기 시간에 항의하거나 불안에 떨 가능성도 있다.
나아가 일반 유권자들의 투표가 지연될 수 있는 상황에서 선관위가 계획한 대로 오후 7시 반까지 투표를 종료할 수 있느냐는 문제도 있다.
이날 0시 기준 재택치료자 수는 116만3천702명인데 이미 사전투표에 참여한 인원 등을 제외하더라도 이들을 1시간 30분 안에 소화하기는 역부족이라는 것이다. 선관위는 본투표 때는 사전투표보다 4배 많은 1만4천464곳의 전국 투표소가 설치되기 때문에 인원이 분산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 확진자가 지역별 편차가 있고 특히 인구가 많은 수도권에 집중돼 있기 때문에 특정 투표소에는 사전투표 때처럼 인원이 몰릴 가능성도 크다.
이와 관련, 선관위는 본투표 때 일반 유권자에게 투표를 일찍 끝내달라고 당부하는 메시지를 다각도로 낸다는 방침이다.
이에 대해 선관위 관계자는 이날 통화에서 "일단 오후 7시30분 전까지 확진·격리자가 투표소에 입장하기만 하면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다"면서 "그전에 입장한 사람이 투표권을 행사하지 못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