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국민지원금 효과… 9월 생산·소비 석달 만에 반등
상태바
백신·국민지원금 효과… 9월 생산·소비 석달 만에 반등
  • 이화연 기자 hylee@cstimes.com
  • 기사출고 2021년 10월 29일 10시 04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 중구 남대문시장의 모습(사진=연합뉴스)
서울 중구 남대문시장의 모습(사진=연합뉴스)

[컨슈머타임스 이화연 기자]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백신 접종 확대와 국민지원금 지급 효과로 서비스업 생산이 늘면서 9월 전(全)산업생산이 반등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로 외부 활동이 늘어나며 소비도 덩달아 증가했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9월 전산업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 지수는 113.1(2015년=100)로 전월보다 1.3% 늘었다.

전산업생산은 6월 1.6%에서 7월 -0.7%, 8월 -0.2%로 두 달 연속 감소했다가 9월 석 달 만에 증가했다.

업종별로 보면 서비스업 생산이 1.3% 늘며 전산업생산 증가를 이끌었다.

사적모임 인원 제한 완화와 국민지원금 지급의 영향으로 숙박·음식점업 생산이 10.9% 증가했다. 6월(2.5%) 이후 석 달 만의 반등이며 증가 폭은 올해 2월(20.8%)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컸다.

대표적인 대면 업종인 도소매업(0.7%) 생산도 함께 늘었고 수출입 증가와 백신 접종 확대 등으로 운수·창고업(4.5%) 생산도 증가했다.

반면 광공업은 0.8% 줄어 8월부터 두 달째 감소했다.

광공업 생산에서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제조업 생산은 0.9% 감소했다. 특히 차량용 반도체 수급 차질에 따른 생산 조정으로 자동차 생산이 9.8% 급감했다. 전기장비(-5.2%) 등 생산도 줄었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 지수(계절조정)는 121.4(2015년=100)로 2.5% 늘었다. 소매판매액 지수도 전산업생산과 마찬가지로 3개월 만에 증가 전환했다. 증가 폭은 올해 3월(2.5%)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컸다.

거리두기 완화로 외부활동이 늘면서 화장품 등 비내구재(3.8%)와 의복을 비롯한 준내구재(5.1%) 판매가 늘었다.

반면 승용차 등 내구재(-1.7%) 판매는 줄었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과 동일한 101.2였다.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0.3포인트 하락해 102.1로 집계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