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싹한' 유영철 내면분석 "살인하면서 무서웠던 순간은…"
상태바
'오싹한' 유영철 내면분석 "살인하면서 무서웠던 순간은…"
  • 강윤지 기자 yjkang@cstimes.com
  • 기사출고 2011년 04월 22일 14시 30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인과 여성 21명을 연쇄살인한 유영철의 편지를 통해서 살인마의 내면을 분석한 글이 화제를 모으고 있다.

22일 뉴시스의 보도에 따르면 경기대 문예창작학과에서 시창작과 평론을 가르치고 있는 시인 권성훈 씨는 최근 '한국범죄심리연구'에 게재한 '유영철 글쓰기에 나타난 사이코패스 성격 연구'를 통해 살인마 유영철의 내면을 분석했다.

권씨는 월간조선 이은영 객원기자가 2004년 8월부터 이듬해 12월까지, 수감중인 유영철로부터 받은 편지를 모아 출간한 '살인중독'(2005)에 실린 편지를 통해 살인마의 성장과 살인동기, 내면 등을 추적했다.

이 문서에서 권씨는 "유영철이 갓난 아기였던 시절 생활고를 못 이긴 할머니가 자신을 죽이려던 것이 무의식에 투영돼 고통과 좌절을 경험하는 등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악영향을 줬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또 그는 유영철이 학창시절 고등학생 깡패 조직과 싸움도 마다하지 않고 담배를 피는 학생들을 보면 선배라도 무릎을 꿇렸던 것 등의 일화를 볼 때 '피상적 매력'과 '과도한 자존감'이 충만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판단했다. 유영철은 자신이 원하던 예술고 진학에도 실패하면서 학업의 꿈을 접었다.

2000년 10월 유영철은 강간 등 자신이 저지른 범죄 때문에 아내에게 이혼을 당했지만 오히려 편지에서 "강제이혼을 당하면서 '신은 죽었다'고 했던 니체의 말처럼 저도 죽었다고 마음먹었고…(중략)…이런 아픔을 겪으면서 점점 분노로 가득차면서 저는 부자들에게 도전하고 싶었습니다"라고 토로했다.

권씨는 이 같은 상황을 종합해 "유영철의 억압 기제는 억눌린 본능적인 욕구나 금지된 욕망이 정상적으로 표현되는 것을 방어하지 못함으로써 대인관계의 고립양상으로 천착됐고, 세계를 기피하고 단절을 경험하면서 살인범으로 성장한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어 권씨는 유영철이 반사회적 성격을 가진 살인마로서 절정을 보여주는 결정적인 글귀를 통해 그가 타자의 고통을 자신의 고통으로 전환할 수 없는 '공감의 무능력자'라는 사실과 '후회 혹은 죄책감 결여' 등의 정서를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제가 이번 만행을 저지르면서 가장 무서웠던 순간이 언제였는지 아세요? 머리카락이 쭈뼛이 섰을 정도로 놀랐던 순간은 잘린 머리가 수건 걸이에서 떨어졌던 순간도 아니고 머리 없는 몸뚱아리가 내게 달려들었던 순간도 아니고 개복한 임신부의 뱃속에서 움직이는 태아를 보았던 순간보다 더 긴장하게 했던 일. 남이 들으면 오히려 이해 안 가는 일이지만 그건 사체를 토막 내는 와중에 아들 녀석에게 전화가 온 순간이었어요. 전화 벨 소리에 놀란 게 아니라 당황하는 내 목소리를 듣고 '감기 아직 안 나았어 아빠?'하며 물어보는 말이 '아빠, 난 다 알고 있어. 그러지 마' 그러는 것 같아 등골이 오싹 했었어요"

당시 유영철은 아들의 전화에 긴장한 나머지 사체 정리도 하지 못하고 라면 대신 밥을 해 먹었다.

이에 대해 권씨는 "살인마가 일시적으로 죄책감을 느꼈다고 봤지만 밥을 먹는 행위로 그것을 곧바로 지우는 행태를 보였다"고 설명하며 '사이코패스'의 전형을 발견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아울러 권씨는 자신에게 희생당한 여성들을 회상하며 쓴 유영철의 시를 분석해 "살인마는 끝내 자신의 범죄를 미화시키고 참회 하지 않았다"고 단언했다.

'마지막/ 끝을 보았다./ 눈물을 보았고/ 슬픔을 보았고/ 공포를 보았고/ 이별을 보았고/ 운명을 보았다./ 그들의 마지막을 보았다'

권씨는 "시에 사용된 눈물, 슬픔, 공포, 운명 등 확장 시어를 통해 궁극적으로 살인을 미화시킨다"며 이 살인마에게 용서는 아직 먼 얘기라고 지적한다.

컨슈머타임스 강윤지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