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울토마토 수확시기 따라 저장온도 다르게
상태바
방울토마토 수확시기 따라 저장온도 다르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정지영기자] 농촌진흥청은 방울토마토의 수확 후 복합적 처리로 선도유지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여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 및 저장고 보유 농가에 보급한다고 밝혔다.  

 

현재 방울토마토는 수확 후 선도유지를 위한 예냉, 에틸렌작용 억제제인 1-MCP 처리, 적정 저장 및 유통온도 처리 등이 산지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주로 상온으로 유통되고 있어 수확 후 손실률이 높아 관리가 어려웠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방울토마토가 적색소인 라이코펜의 발현 정도에 따라 표면의 색상이 녹색, 노란색, 분홍색, 진분홍색, 붉은색으로 착색이 진행되며, 착색률에 따라 성숙단계를 6단계로 구별하였다.



이번에 개발한 방울토마토 수확 후 관리방법은 수확시기에 따라 예냉 온도, 1-MCP(에틸렌작용억제제) 처리, 저장 및 유통 온도를 달리함으로써 착색 등 상품성은 물론 저장 수명을 최대화하는 방법이다.

4단계의 도색기(50~80% 착색율)에 수확한 방울토마토는 20℃로 강제통풍 예냉시켜 수확 후 초기 과일의 온도를 빠르게 떨어뜨린 후 0.5ppm의 1-MCP를 24시간 처리한 뒤 20℃에 저장 및 유통하는 것이 착색 및 상품성 유지에 좋았다. 예냉처리 및 1-MCP 처리를 하지 않은 방울토마토가 약 3주의 저장수명을 가지는 데 비해 이 방법을 적용하였을 때는 약 5주 동안 상품성을 유지할 수 있다.

5단계의 연적기(90% 착색율)에 수확한 방울토마토는 과숙, 연화 방지 및 부패과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13℃로 강제통풍 예냉을 실시한 후 1ppm의 1-MCP를 24시간 처리한 뒤 13℃에 저장 및 유통하는 것이 좋다고 농촌진흥청이 밝혔다. 이 경우 약 40일 동안 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과수과 조미애 연구사는 "방울토마토의 수출 확대를 위한 수확 후 관리기술 적용 및 보급이 필요한 시점에서 수확시기에 따라 각각 20℃와 13℃로 예냉, 저장 및 유통온도를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저온 유지를 위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저장 수명을 연장하여 품질 및 가격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