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B부동산 리브온(Liiv ON)에 따르면 서울 25개구에서 지하철역까지 500m 이내 전세금 5억원 이하 아파트 세대수 비중이 많은 상위 3위권은 '노·도·강'이 차지했다.
청년 맞춤형 전월세 대출 상품은 무주택자 중 맞벌이 연소득 7000만원 이하 만 34세 청년가구에게 수도권의 경우 보증금 5억원(지방 3억원 이하)이하 주택에 대해서 최대 7000만원까지 2.8%대 이자를 적용한다.
지하철역 500m 이내 전세금 5억원 이하 아파트 세대수 비중은 노원구(99.8%)가 가장 높았다. 즉, 전세금 5억원 이하의 아파트가 밀집되어 있다는 의미다. 이어 도봉구(99.1%), 강북구(97.5%), 관악구(96.3%)와 은평구(95.7%) 순이었다. 반면 강남(25.9%)과 서초(25.3%)는 30% 이하로 낮았다. 강남과 서초 아파트의 호당 평균 전세가격은 각각 7억7000만원, 7억9000만원대이다.
노원구는 지하철 7호선 마들역 주변인 상계주공11단지 공급면적 96㎡ 전세가격이 2억5250만원~2억9250만원 사이다. 도봉구는 지하철 4호선과 1호선 창동역 환승구간인 창동 주공3단지 공급면적 80㎡가 2억2500만원~2억4500만원, 강북구는 지하철 4호선 미아사거리역 주변인 미아동부센트레빌 공급면적 105㎡ 전세가격이 3억9500만원~4억2000만원대로 형성돼 있다.
서울 자치구별 전세금 구간에 따른 세대수 비중이 높은 곳을 살펴보면 △전세금 2억원 이하 노원구(38.5%) △2억원 초과~3억원 이하 도봉구(40.8%) △3억원 초과~4억원 이하 성북구(46.0%) △4억원 초과~5억원 이하 금천구(42.1%)인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수도권에서 전세보증금 5억원 이하 아파트의 3.3㎡당 전셋값은 839만원(5월 27일 기준)으로 5억원 초과 3.3㎡당 아파트값 1761만원 대비 절반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전세보증금 구간이 커질수록 3.3㎡당 가격도 높기 때문에 5억원 초과 고가아파트와의 가격 격차가 확대됐다.
서울의 전세보증금 5억원 이하의 아파트 3.3㎡당 전셋값은 984만원, 경기는 746만원, 인천은 700만원이다. 반면 5억원 초과인 경우 3.3㎡당 전셋값은 서울 1866만원, 경기 1417만원, 인천 1124만원으로 나타났다.
서울 아파트 전세보증금 구간별 3.3㎡당 전셋값은 △1억원 이하는 592만원 △1억원 초과~2억원 이하는 835만원 △2억원 초과~3억원 이하는 995만원 △3억원 초과~4억원 이하는 1167만원 △4억원 초과~5억원 이하는 1329만원 △5억원 초과는 1866만원이다.
지방의 경우 전세보증금 3억원 이하 주택에 대해서 '청년 맞춤형 전월세 대출'을 받을 수 있다. 전세보증금 3억원 이하 아파트의 3.3㎡당 전셋값은 493만원이며, 3억원 초과 아파트는 약 1.8배 더 비싼 874만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