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이 28일 국회 재정위원회에 배포한 현안보고 자료에 따르면 취약차주 가계부채는 지난 3월 말 현재 79조5000억원으로 2015년 말(73조5000억원)과 비교하면 1년 3개월 동안 6조원 증가했다.
취약차주는 3개 이상의 금융기관에서 대출받은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신용(신용 7∼10등급) 또는 저소득(하위 30%)에 해당하는 차주를 말한다.
고위험가구 부채는 2015년 말 46조4000억원에서 지난해 말 62조원으로 1년 사이 15조6000억원 증가했다. 고위험가구는 처분가능소득으로 원금과 이자를 갚을 능력을 나타내는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이 40%를 넘고 부채가 자산평가액보다 많은 가구다.
우리나라 가계부채 증가세는 국제적으로도 두드러진다. 2015년 말 기준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비율(지난 2015년 기준)은 91%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국가의 평균(72.4%)을 상회했다.
한국은행은 "가계부채가 크게 증가하는 과정에서 채무상환능력이 떨어지는 취약계층의 부채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취약차주, 고위험가구 등의 부채는 지난 2015년 이후 크게 증가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컨슈머타임스(Consumer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