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지자체 주도 산업단지 난개발 막는다
상태바
국토부, 지자체 주도 산업단지 난개발 막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 김수정 기자] 정부가 난개발을 막기 위해 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하는 일반 산업단지 지정 계획을 사전 검증한다.

국토교통부는 내년도 일반 산업단지 지정 계획부터 산업∙입지적 타당성을 사전 검증하기로 했다고 14일 밝혔다.

전국의 일반 산단은 2011년 470개에서 작년 9월 615개로 늘었다. 같은 기간 미분양 면적은 8480㎡에서 2만1390㎡로 152% 이상 증가했다.

국가가 지정하는 국가 산단과 달리 일반 산단은 시, 도 등 광역지자체가 국가로부터 권한을 위임받아 지정한다.

지자체는 일반 산단을 지정하기 전 관련 심의위원회를 열어 내용을 검토하고 국토부 등 중앙정부와 협의한다.

하지만 산단의 타당성에 대한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검증은 이뤄지지 못한다는 것이 국토부의 판단이다.

실제 국토부가 작년 시범적으로 일부 일반산단 지정계획안을 검증한 결과 입주 수요가 모자라거나 재원조달 방안이 미흡해 사업적 타당성이 떨어지는 사례가 다수 발견됐다.

이에 국토부는 내년부터 일반 산단 지정 계획을 제출 받으면 국토연구원을 통해 산단을 조성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지 타당성을 분석하기로 했다.

산단이 유치하는 업종이 적정한지, 지역의 산업정책과 부합하는지 등을 따져보고 지역의 산단 수급실태와 토지∙기반시설 확보 가능성, 민원발생 개연성 등을 분석할 계획이다.

산단 지정 계획 조정회의 때 산단별 사전타당성 검증 결과를 활용해 부적절한 산단 지정 계획은 보류시킬 방침이다.

지자체가 국토부에 산단 지정계획안을 낼 때 세부 제출자료의 내용을 보강하는 등 제도 개선도 추진할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