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컨슈머타임스 이보미 기자] 지난해 말부터 치솟기 시작했던 농축산물 장바구니 물가가 성수기인 설이 1주일이나 지났지만 좀처럼 안정되지 않고 있다.
4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가격통계(KAMIS)에 따르면 3일 기준 배추(한 포기 상품·3990원) 가격은 설 직전인 지난달 26일(3987원)과 비교해 오히려 0.08% 더 올랐다. 이는 평년(2095원)의 2배(90.5%↑) 수준이다.
양배추(한 포기 상품·5083원)도 설 전보다 2.3% 정도 더 비쌌다. 평년(2736원) 대비 85.8% 오른 상태다.
당근(무세척 상품 1㎏·5694원)은 1.5% 떨어졌지만, 아직 평년의 2.3배(128.9%↑)에 이르고 2.8% 하락한 무(한개 상품·2460원)도 여전히 평년의 2배(88%↑) 수준에서 내려오지 않고 있다.
마늘(깐마늘 국산 1㎏·1419원), 양파(1㎏ 상품·2294원)는 설 이후 각각 4.1%, 6% 더 올랐고 대파(1㎏ 상품·3천713원)만 0.9% 정도 떨어졌다. 이들 양념류 채소들은 현재 평년 보다 각각 42.7%, 21.6%. 39.5% 비싸다.
채소류 가운데 설 이후 가격이 눈에 띄게 떨어진 것은 각각 19.9%, 17.1% 하락한 애호박(한 개 상품·1657원)과 딸기(100g 상품·1306원) 정도다.
축산물도 좀처럼 떨어지지 않고 있다.
한우 갈비(100g 1등급·4900원)와 한우 등심(100g 1등급·7613원)의 설 이후 하락 폭은 각각 2.5%, 0.2%에 그쳤다. 여전히 평년보다는 13.4%, 13.9% 높은 수준이다.
조류인플루엔자(AI) 영향으로 급등한 계란(특란 30알 중품·8596원)은 미국산 등 계란 수입에도 불구, 1주일 전보다 3.4% 하락했다. 이는 평년보다 52.6% 비싼 상태다.
명태(냉동 한 마리 중품·2410원)는 설을 지나 2.9% 더 올랐고, 물오징어(한 마리 중품·3339원)와 굴(1㎏ 상품·1만6529원)은 1.2%, 7.2%씩 떨어졌다. 하지만 아직 이들 품목 가격은 평년보다는 16.2%, 25.1%, 16.3% 비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