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증조작' 수입차…금융위기 후 최초 '역성장'
상태바
'인증조작' 수입차…금융위기 후 최초 '역성장'
  • 강승만 기자 eco@cstimes.com
  • 기사출고 2016년 12월 21일 09시 21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폭스바겐아우디 등 수입차 인증서류 조작 논란
   
 

[컨슈머타임스 강승만 기자] 올해 자동차 시장에 가장 큰 파장을 일으킨 사건은 폭스바겐아우디 디젤게이트다. 최근까지 견고한 성장세를 유지해온 수입차 업계는 디젤게이트 논란으로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초로 판매율이 크게 하락했다.

◆ 디젤게이트와 수입차 인증서류 조작

폭스바겐아우디코리아는 최근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표시광고법 위반' 과징금 373억2600만원을 부과 받았다. 배출가스 저감 장치를 조작하고 거짓 광고를 했다는 이유다.

디젤게이트 사태로 폭스바겐과 아우디 차량은 인증취소와 판매중단 됐다. 소비자 피해 보상과 차량 리콜 등은 해를 넘기게 됐다.

관련 사건을 계기로 환경부는 지난 8월부터 15개 수입차업체 인증서류를 전수 조사했다. 그 결과 BMW, 포르쉐, 닛산 3개 업체 인증서류에서 배출가스 등 오류가 드러났다.

환경부는 향후 청문 절차에서 이들 업체의 위법 사실이 드러나면 해당 차종에 대해 인증취소와 판매정지 조치를 할 계획이다. 현재 판매중인 대상 차종은 닛산 '인피니티 Q50' '캐시카이', 포르쉐 '마칸 S 디젤' '카이엔 SE-하이브리드' '카이엔 터보', BMW의 'X5M' 등 6개다.

수입차 업계는 신차 출시시기를 앞당기기 위해 인증 서류상 모델만 바꾸는 일을 관행적으로 해왔다는 의혹을 받아왔다. 닛산은 미인증 시험실에서 시험했으나 인증 받은 시험실에서 시험한 것으로 서류 제출한 것으로 드러났다.

수입차 업계는 인증서류 조작이 단순한 오류에 불과하다고 변명했다. 한 업체 관계자는 "판매량 확대를 위해 서류를 조작한 것은 아니며 인증 서류 작성과정에서 잘못 기입한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위법이 최종 확인되면 이미 판매된 4349대의 판매금액 3%인 64억900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이들 업체가 청문에서 고의성이 없었다는 점을 입증하지 못하면 대기환경보전법상 인증서류 위조로 보고 검찰에 고발하겠다는 방침이다.

◆ 수입차 판매량 지난해 대비 6.5% 감소…금융위기 때 보다 감소폭 커

디젤게이트와 인증서류 조작 논란은 소비자들의 수입차 구매행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올해 1~11월 수입차 신규등록 대수는 20만5162대로 전년 같은 기간 21만9534대에 비해 6.5% 감소했다.

지난달 수입차 전체 판매대수는 1만9361대로 10월보다 6.1% 하락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15.8% 감소한 수치다.

올해 수입차 시장은 연간 판매량에서 역성장이 불가피하다. 지난해 연간 24만3900대 판매량 수준을 달성하려면 이달에 3만8738대 이상을 팔아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올해 월간 판매 실적이 가장 좋았던 지난 3월 판매량은 2만4094대였다.

수입차 판매량은 IMF 외환위기 당시 1997년 21.1%, 1998년 74.5% 감소한 것을 제외하면 지난 20년간 꾸준히 두 자릿수 이상 성장률을 기록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때도 1.1% 감소하는데 그쳤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