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컨슈머타임스 김유진 기자] 청년 구직자들 가운데 절반 이상이 면점에서 불쾌한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통령직속 청년위원회와 청년희망재단은 채용 면접 경험이 있는 19∼29세 청년 106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청년면접 실태조사'를 발표하며 이같이 7일 밝혔다.
조사 결과 채용 면접을 경험한 청년이 꼽은 면접 준비의 가장 큰 부담 요인은 '스피치 등 면접기술'(43.3%), '기업정보 파악'(39.3%) 등이었다.
면접 준비 과정에서 가장 필요한 지원 제도로는 '컨설팅 지원'(44.1%), '금전적 지원'(29.7%) 등을 선택했다.
면접 준비를 위한 항목별 평균 지출 금액을 보면 △면접 대비 학원 등록(45만1000원) △의상 구매(25만9000원) △교통비(10만2000원) △면접 관련 서적 구입(10만1000원) △헤어∙메이크업(8만9000원)등에 많이 쓰인 것으로 집계됐다.
면접을 경험한 청년의 64.8%는 면접 과정에서 불쾌한 경험을 했다고 언급했다.
면접 전의 불쾌한 경험으로는 △과도한 면접 대기시간(19.5%) △일방적인 면접 일정 통보(16.9%) △약속된 면접 일정 변경(6.8%) △일방적인 면접 취소(5.4%) 등을 선택했다.
면접장 내의 불쾌한 경험으로는 △적절하지 않은 질문(26.0%) △면접관의 태도 불량(19.2%) △면접 시간의 문제(13.2%) 등을 꼽았다.
면접 후의 불쾌한 경험으로는 △면접 결과 미 통보(18.6%) △일방적인 출근 일정 통보 및 강요(9.0%) △합격 통보 후 채용 취소(4.3%) 등을 골랐다.
청년희망재단은 청년들의 목소리인 실태 조사 결과를 반영해 '자기소개서 및 면접 컨설팅'과 '실전 PT 면접 프로그램 지원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