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경제활동 않는 이유 '근로의사 없음' 9년새 2.5배 증가
[컨슈머타임스 김동완 기자] 비경제활동 인구 중 '근로의사가 없어서'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사람의 비중이 최근 9년새 2.5배나 증가했다.
소위 '니트족'(Not in Employment, Education, Training) 중 일할 의사가 없는 사람들이 그 사이 많이 늘어난 것이다.
구직활동 포기자는 3명 중 1명이 왕성하게 경제활동을 할 연령인 35~55세의 청장년층이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보건복지포럼 최신호(10월)에 게재된 '한국복지패널을 통해서 본 사회·경제적 변화' 보고서가 지난 2005~2013년의 한국복지패널 조사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보사연은 다양한 인구집단별로 생활실태와 복지욕구 등을 분석하기 위해 2005년(조사 대상 연도 기준) 1차년도 조사를 시작으로 매년마다 한국복지패널 조사를 하고 있다. 지난해 9차 조사에는 7048가구가 참여했다.
15일 이 보고서에 따르면 비경제활동 인구 중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이유로 '근로의사 없음'을 꼽은 사람의 비중은 2005년 10.6%에서 2013년 26.5%로 2.5배 증가했다.
이에 비해 '근로능력이 없다'고 답한 사람의 비중은 2005년 조사에서는 17.5%였던 것이 2013년에는 3.9%로 크게 감소했다.
그 사이 '가사·양육·간병'을 비경제활동 이유로 꼽은 비중도 41.0%에서 29.8%로 줄었다. '구직활동 포기'라는 답변은 3.4%에서 4.0%로 늘었다.
2013년을 기준으로 하면 구직활동을 포기한 사람의 3명 중 1명꼴인 31.3%는 35~55세 연령대에 사람들이었다. 구직활동 포기자 중 이 연령대가 차지하는 비율은 2005년에는 12.7%였지만 9년새 2.5배 증가했다.
이에 비해 65세 이상 노년층이 구직활동 포기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그사이 크게 감소했다. 2005년에는 42.4%를 차지했지만 2013년에는 31.0%였다.
왕성하게 경제활동을 할 나이인 35~55세에서는 구직활동을 포기한 사람이 증가했다. 은퇴 후 연령대인 65세 이상에서는 구직 포기자가 줄어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