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여행·관광 가격 경쟁력 '꼴찌' 수준…140개국중 109위
[컨슈머타임스 김동완 기자] 세계 주요국 가운데 한국의 여행∙관광 부문은 가격 경쟁력에서 '꼴찌'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세계경제포럼(WEF)의 '2015 여행∙관광 경쟁력'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종합경쟁력에서 29위를 기록, 2013년 조사에 비해 4순위 내려앉았다.
WEF가 전 세계 141개국을 대상으로 △관광환경(비즈니스, 신변 안전, 보건∙위생, 정보통신기술) △여행∙관광정책(산업 민영화, 국제 개방, 가격경쟁력, 지속가능 환경) △인프라(공항, 육상∙항만, 여행 서비스) △자원(자연환경, 문화유적) 등 4개 범주의 90여 개 부문을 평가한 결과다.
140개국 대상의 2013년 조사에서 6위였던 스페인은 프랑스(2위)와 독일(3위)을 제치고 1위에 올랐다. 유럽에서는 영국, 스위스, 이탈리아 등 6개국이 톱 10에 이름을 올렸다.
한국은 'ICT'(5.97점)', '보건∙위생'(6.36점)'에서 각각 11위와 16위에 올랐다. 가격 경쟁력(4.06점)은 109위, 사업환경(4.44점)은 69위에 머물렀다.
가격 경쟁력은 2013년도(96위)에 비해 13계단 아래로 밀려났다. 관련 물가 인상과 원화 가치의 단기적 변동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선진국일수록 낮게 나오는 구매력 평가지수(PPP. 환율∙물가 수준을 감안해 구매력을 평가한 환율)와 유가 가격지수, 호텔가격지수 등을 주요 지표로 평가해 개도국이나 산유국에 비해 불리한 측면이 있다는 것.
종합 여행∙관광 경쟁력에서 일본은 2년 전(16위)보다 7계단 오른 9위로 평가됐다. 중국은 생물의 개체수 증가 등 자연자원 부문에서 높은 점수를 얻어 47위에서 17위로 30계단 뛰어 올랐다.
러시아는 45위, 인도는 52위, 이란은 97위로 2년 전(98위)과 비슷한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