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 동력 부족"…상장사 '반쪽짜리' 실적 회복
상태바
"성장 동력 부족"…상장사 '반쪽짜리' 실적 회복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성장 동력 부족"…상장사 '반쪽짜리' 실적 회복

[컨슈머타임스 김수정 기자] 올해 1분기 상장사들은 글로벌 경기 둔화와 내수 부진 여파로 1년 전보다 매출은 뒷걸음질쳤지만 유가 하락 등에 힘입어 수익성은 개선됐다.

이른바 '불황형 흑자'를 보인 셈이다.

그러나 삼성전자를 제외한 나머지 상장사들은 수익성이 좋아졌다.

금융업의 수익성도 대폭 개선됐다. 특히 증권업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18일 한국거래소와 한국상장회사협회의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 12월 결산법인 706개사 중 626개사의 개별 재무제표기준 1분기 실적을 분석한 결과 작년동기대비 순이익은 0.88% 늘었다.

하지만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6.40%, 4.44% 줄어 '반쪽짜리' 실적 회복세를 보였다.

지난 1분기에 기업이 얼마나 장사를 잘했는지를 드러내는 이익 지표는 작년동기대비 나아졌다.

작년 상장사들의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6.42%로 작년 1분기 6.32%보다 0.11%포인트 늘었다. 매출액 순이익률도 6.22%로 작년 5.79%보다 0.43%포인트 증가했다.

이는 기업이 1000원짜리 상품을 팔았을 때 약 64원의 영업이익을 남겼고, 이중 실제 손에 쥔 돈은 62원 수준이라는 의미다.

전반적으로 매출은 부진하지만 유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원가가 절감되면서 이익이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

이상재 유진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세계 경제, 특히 중국이 회복세를 나타내지 못하면서 국내 내수와 수출이 감소해 매출이 줄었다"며 "여전히 성장 동력이 만들어지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이 팀장은 이어 "대외 여건은 크게 개선되지 않았지만 1분기 환율과 유가 효과 등으로 이익이 늘어났다"고 말했다.

특히 매출액 비중이 높은 삼성전자(11.7%)를 제외했더니 매출액 감소(4.8%)는 여전했지만 수익성은 뚜렷하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를 뺀 나머지 상장사들의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작년 같은 기간보다 17.5%, 22.3% 늘어났다.

연결 재무제표 기준으로도 상장사 501곳의 매출액은 5.78% 줄어든 반면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7.09%, 3.79%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김형렬 교보증권 매크로팀장은 "전체 시장의 매크로 환경이 더디게 변하면서 기업 업황 자체는 여전히 안 좋다"며 "기업들이 작년 하반기부터 업황 부진에 대비해 구조조정 등으로 선제적으로 대응해 그나마 실적 악화가 제한됐다"고 말했다.

코스닥시장은 외형적으로는 성장했으나 실속은 적었다.

개별 재무제표를 제출한 코스닥시장 상장기업 905곳의 매출액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0.98% 증가했으나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0.35%, 11.0% 줄었다.

작년보다 장사를 잘 못 해 매출액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은 각각 5.14%와 4.58%로 작년보다 0.06%포인트, 0.62%포인트 줄었다.

한편 개별 재무제표를 기준, 금융업 49곳 중 경남은행과 광주은행을 제외한 47곳의 수익성은 대폭 개선됐다. 이들 47곳의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작년 같은 기간보다 35.8%, 39.7% 늘었다.

특히 증권업은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각각 221.0%, 306.6% 늘어나 개선세가 두드러졌다.

제조업 내 업종별로는 운수창고가 흑자 전환한 것을 비롯해 9개 업종의 순이익이 증가했다.

통신의 순이익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283.52% 늘어난 것을 비롯해 전기가스(199.23%), 철강금속(189.48%), 의료정밀(101.40%) 등이 큰 폭의 수익성 개선을 나타냈다.

기계(43.95%), 화학(18.19%), 운수장비(14.40%), 의약품(9.14%) 등도 순이익이 늘었다.

반면 건설은 적자로 돌아섰고, 비금속광물(-80.99%), 섬유의복(-74.62%), 유통(-32.90%), 전기전자(-20.46%), 서비스(-12.61%), 종이목재(-10.15%), 음식료품(-4.06%) 등은 작년보다 순이익이 줄었다.

코스닥시장에서는 IT업종(362개사)의 매출액과 순이익이 각각 0.57%, 3.89% 늘어났다. 건설·금융 업종도 매출과 순이익 모두 늘었다.

반면 오락·문화 업종은 매출과 순이익 모두 감소했고, 유통서비스는 매출은 증가했으나 순이익은 감소했다. 제조·기타서비스는 매출은 늘어난 반면 순이익은 줄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