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컨슈머타임스 김새미 기자] 끊임없이 불안해 하며 특정 사고·행동을 반복하는 강박장애 환자의 2명 중 1명은 20~3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은 2009~2013년의 건강보험과 의료급여 심사결정자료를 이용해 강박장애에 대해 분석했다고 3일 밝혔다.
분석 결과 진료인원은 2009년 약 2만1000명에서 2013년 약 2만4000명으로 5년 동안 13.1%인 약 3000명이 증가했다. 총 진료비는 2009년 약 88억원에서 2013년 112억원으로 5년 만에 26.6% 늘었다.
최근 5년간 강박장애 진료인원 중 남성은 약 57.7%~58.2%, 여성은 41.8%~42.3%였다. 5년간 평균 성비는 약 1.4 정도로 남성 진료인원이 여성보다 많았다.
강박장애 진료인원의 연령별 점유율은 2013년 기준으로 20대가 24.0%로 가장 높았고 30대가 21.2%로 뒤를 이었다. 40대는 16.3%이었다. 20~30대 환자가 전체 진료인원의 45.2%를 차지했다.
특히 성별 연령구간 비율은 30대를 기준으로 차이가 났다. 10~20대에서는 남성환자가, 40~70세 이상에서는 여성환자가 더 많았다.
한편 강박장애의 증상은 강박성 사고, 강박행위로 나뉜다. 강박성 사고는 실제로 일어날 가능성이 거의 없는 사고 가능성을 끊임없이 생각하며 불안해하는 증상이다. 손 씻기, 청소하기, 헤아리기, 검토하기 등 특정행동을 여러 번 반복하는 경우는 강박행위로 분류된다.
강박장애의 치료법은 약물치료, 정신치료, 인지행동치료가 있다. 약물치료법이 널리 활용되는 편이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합한 치료법을 사용·병행해 치료를 받아야 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관계자는 "특히 20~30대의 젊은층 환자들이 많은 이유는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불안감, 임신·출산 스트레스와 같은 심리적 원인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