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용 블랙박스 68%, KS 기준 미달"
상태바
"차량용 블랙박스 68%, KS 기준 미달"
  • 한행우 기자 hnsh21@cstimes.com
  • 기사출고 2013년 11월 11일 16시 48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 한행우 기자] 시중에 판매 중인 차량용 블랙박스의 68%가 KS 기준 미달인 것으로 조사됐다.

11일 한국소비자원이 차량용 블랙박스 31개에 대해 영상 품질·동영상 저장 성능·내환경성 등을 비교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68%에 해당하는 21개 제품의 주요 기능이 KS 기준에 미치지 못했다. 

하나엔지니어링코리아가 수입 판매하는 'MHD-K12' 제품은 번호판 식별성·시야각·진동 내구성에서, 모두스코리아의 '350HD'는 번호판 식별성·시야각에서, 에이치디비정보통신의 'P3'는 시야각·초당 저장 화면 수·진동 내구성에서 각각 KS 기준 이하였다.

가격이 27만원대로 가장 비싼 큐알온텍의 'LK-7900HD ACE'는 진동 내구성 시험에서 거치대가 파손되기도 했다. 한솔온라인의 'HVD-101'은 국가통합인증(KC) 마크가 없어 전파법을 위반한 것으로 드러났다.

전파법은 차량용 블랙박스를 전자파 적합 등록을 받아 KC 마크를 부착하도록 하고 있다.

반면 피타소프트의 'DR380-HD', 코원시스템의 'AC1'과 'AW1', 팅크웨어의 'FX500 마하', 아이트로닉스의 'ITB-100HD SP', 삼보컴퓨터의 'TGB-F1' 등 6개 제품은 영상 품질이 상대적으로 우수했다. 메모리 사용량이 적으며 내환경성에서도 이상이 없었다. 

소비자원은 차량용 블랙박스 가격·품질 정보를 공정거래위원회의 스마트컨슈머내 바교 공감 란에 공개할 계획이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막연히 해상도가 높은 풀HD 제품을 선호하기 보다는 실제 영상 품질과 메모리 교체 비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