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건설사, 자구책 마련하나
상태바
위기의 건설사, 자구책 마련하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알짜계열사 팔고 자금 유동성 확보 中
선별적 수주로 몸 사려
태영건설, PF 우발채무 과다...지속적 모니터링 필요

컨슈머타임스=김유영 기자 | 국내 건설사 재무건전성이 악화되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에 신용등급이 낮춰지는 등 위기설이 계속 나오고 있다. 일부 건설사들은 계열사를 팔아 재무구조 개선에 힘을 쏟고 있다. 

태영건설은 워크아웃설이 시장에 나돌고 올해만 여러차례 위기설이 나왔다. GS건설도 자금 유동성 확보를 위해 계열사 지분 매각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지방 중견 건설사 위주의 현금흐름 저하와 같은 유동성 대응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상위 건설사 대비 분양위험이 높은 사업장 구성으로 인해 운전자금이나 PF보증 부담에 더 많이 노출되어 있다. 외부 지원이나 자산 담보 없이는 자체적인 자금조달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달 경남 창원지역 중견 건설사인 남명건설이 최종 부도처리됐다. 경남 8위의 중견 건설사로 평가되지만 총 600억 원에 달하는 공사 미수금 누적액이 쌓여있는 상태였다.

이같은 건설업 경기 불황이 지속되자 신용평가사들은 부동산 PF 리스크가 확대되고 있다며 일부 증권사와 건설사들의 신용도를 낮추고 있다. 

신세계건설의 경우 브릿지 PF의 본 PF 전환 지연 및 PF 우발채무 증가 등을 이유로 한국신용평가(한신평)과 한국기업평가(한기평)으로부터 무보증사채 등급전망이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내려갔다.

이태환 대신증권 연구원은 "올해 하반기 들어 분양·착공이 감소돼 브릿지론의 본 PF 전환율이 크게 낮아지고 만기 연장 사례가 증가, 부동산 PF 롤오버 리스크가 다시 부각되고 있다"며 "내년에도 미국 기준금리 인하 시점은 연말로 예상돼 의미 있는 업황 개선을 기대하기 어렵고 부동산 PF 리스크도 잔존할 것"으로 내다봤다.

태영건설 본사 이미지

지난달 나이스 신용평가사는 '건설산업 현황 및 최근 주요 이슈 점검' 보고서를 통해 태영건설, 롯데건설, GS건설, HDC현대산업개발 4개사를 주요 모니터링 해야할 건설사로 언급했다.

태영건설은 절대적 규모 측면에서 PF 우발채무가 과다하며 이 중 미착공 현장의 비중이 높은 수준이라는 설명이다. 이어 주택 분양경기 침체의 장기화 또는 부동산 PF 시장의 경색 상황이 재차 발생하는 경우 재무안전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고 봤다. 향후 사업장의 분양실적과 PF우발채무 만기 분산화 정도 등을 검토해야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다. 

GS건설과 HDC현대산업개발은 브랜드 인지도 훼손, 영업정지 등 행정처분, 재시공에 따른 비용으로 재무안전성이 저하됐다고 평가했다. 즉 붕괴사고 관련 행정처분 결정시기와 수위가 주요 모니터링 요인이다.

GS건설은 인천 검단아파트 붕괴사고(23년 4월)로 약 5500억원의 손실을 봤으며, HDC현대산업개발은 광주 화정동 붕괴(22년 1월) 사건으로 약 3377억원이 손실금으로 추산됐다.  

신용평가사 관계자는 "건설업계가 업황 부진으로 PF 리스크가 재차 불거질 확률이 높다"며 "각 업체별로 자금 유동성 대응 수준과 PF 우발채무 통제 능력을 우선적으로 검토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자, 정부 당국이 올 하반기 부동산 PF 대출 지원 완화 등 금융지원책을 내놨으나 이미 얼어붙은 건설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기엔 다소 부족하다는 의견이다.

건설사들은 현금 유동성을 확보해 사업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 자구책을 마련하고 있다. GS건설은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100% 자회사인 GS이니마의 소수 지분 매각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태영건설도 그룹 내 물류 부문 담당하던 '알짜' 계열사 태영인더스트리를 매각할만큼 재무구조 개선에 열을 높이고 있다. 또한 4년전 아들에게 회장직을 물려주고 경영에서 물러났던 윤세영 태영그룹 창업회장이 최근 고령에도 경영 일선에 복귀하며 우발 채무 및 리스크 관리 강화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올 한해 건설사들은 사업성이 떨어지면 초기에 보증금까지 포기하면서 사업 '손절매'를 하기도 했다. 보수적으로 사업성을 판단하고 몸을 사리는 분위기"라며 "내년에도 부동산 침체기에 대응하기 위해 주택 부문에서는 사업성이 높고 리스크가 적은 사업 위주로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건설회사 공통적으로 PF 리스크 뿐 아니라 시멘트 강도 기준, 층간소음 규정 등 엄격해진 관리감독 등으로 추가 원가부담 상승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업계가 더욱 긴장을 곤두서서 사업 리스크 관리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