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한국교통안전공단, 철도안전진단 10년의 역사…"115억 원 수주 달성"
상태바
TS한국교통안전공단, 철도안전진단 10년의 역사…"115억 원 수주 달성"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철도설계 단계부터 사전 위험요인 도출…국민 철도안전 확보 앞장
10년 간(2015년~2024년) GTX‧신림선‧광주2호선 등 총 40건 진단
한국교통안전공단 직원들이 5월 27일에 대구산업선 제1,2공구(T/K구간)을 대상으로 '설계단계 철도교통시설 안전진단'을 실시하고 있는 모습.
한국교통안전공단 직원들이 5월 27일에 대구산업선 제1,2공구(T/K구간)을 대상으로 '설계단계 철도교통시설 안전진단'을 실시하고 있는 모습.

컨슈머타임스=안우진 기자 | 한국교통안전공단(이사장 정용식, 이하 TS)은 설계 단계부터 국민의 철도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설계단계 철도교통시설안전진단'을 2015년부터 2024년까10년간 시행하면서 총 115억 원(누적)의 수주를 달성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설계단계 철도교통시설안전진단은 정거장 1개소를 포함한 1㎞ 이상의 철도를 설치하는 경우 이용자 측면에서의 열차운행, 철도시설이용, 타 교통과의 연계 시 발생하는 위험요인을 예방하기 위한 안전진단이다.

TS한국교통안전공단은 2015년 철도교통시설안전진단을 시작으로 10년간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신림선, 광주2호선 등 총 40건의 설계 안전진단을 수주해 시행하고 설계단계 사전 위험요인 도출을 통해 철도안전 확보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특히 TS는 대심도 철도 시설 개선과 사고사례 검토를 통해 위험요인을 사전 발굴해 예방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이를 위해 TS한국교통안전공단은 대심도 구간에서 화재 발생 시에 열차 이용 승객의 대피를 고려한 피난계획을 수립하고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 및 작업자 안전사고(가스·감전 등) 예방을 위한 통전표시기 추가 등 개선 활동을 펼쳤다.

또한 교통약자 이동 편의를 확보하기 위한 역사 내 안내 표시 개선과 혼잡도 예방을 위한 안전진단을 시행했다.

정용식 한국교통안전공단이사장은 "앞으로도 철도설계 안전진단을 통해 이용자의 입장에서 사전 위험요인을 도출해 국민이 안전하고 편리한 철도 이용 환경을 만드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