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새마을금고는 '헌마을금고' 오명 벗으려면?
상태바
[기자수첩] 새마을금고는 '헌마을금고' 오명 벗으려면?
  • 김태환 기자 thkim@cstimes.com
  • 기사출고 2013년 04월 01일 08시 06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 김태환 기자]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고 말하지만 소를 잃더라도 외양간은 고쳐야 한다. 더군다나 우리는 소가 아니라 사람이다."

소설가 고 박완서씨의 에세이에 나온 말이다.

새마을금고가 최근 소도 잃고 외양간도 고치지 않고 있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직원 관리시스템 부실이 원인으로 분석되는 거액의 횡령사고가 잇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새마을금고 임직원의 불법행위로 인한 금융사고는 2008년부터 2011년 6월까지 총 18건이나 된다. 피해액은 무려 448억7200만원에 이른다.

새마을금고 특유의 인사방식이 낳은 참극이라는 의견이 업계와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오고 있다.   

이사장이나 임직원이 지역 금고에 오래 근무하는데다 평균 재직기간도 타 은행보다 길다. 금고 이사장 임기는 4년으로, 두 차례 연임이 가능해 최대 12년까지 재직할 수 있다.

내부에서 발생되는 각종 비리사안을 애써 축소시킬 수 밖에 없는 배경이다. 탈 없이 조용히 넘어가야 자리를 오래 지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새마을금고가 자체 조사를 통해 직원의 비리사실을 포착했음에도 감독직원이 오히려 이를 빌미로 피의자의 돈을 뜯어내는 황당한 경우도 있었다.

최근 벌어진 대구 서모씨 13억 횡령사건으로, 감사팀 김모씨는 이를 빌미로 서모씨에게 3억4000여만원을 빌렸다.

내부 감사시스템을 개선함과 동시에 외부 감시의 강화가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안전행정부는 새마을금고 업무를 전담하는 새마을금고담당과를 신설했다. 올해초 금융감독원과 함께 강도높은 합동감사를 실시하는 등 새마을금고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고 있다.

새마을금고 스스로 깊은 반성과 뼈를 깎는 쇄신을 벌이지 않는 이상 '헌마을금고'라는 오명은 피하기 어렵다.

새마을금고의 감사 시스템 강화, 이사진 인사 개정 등의 내부적인 개선과 관리당국인 행안부, 금감원의 외부적 감시장치가 마련돼야 한다.

새마을금고가 '외양간'을 고쳐 제대로 된 '소'를 키울수 있길 기대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