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6월 금리 인하 가능성 후퇴'…韓도 기대감 낮아졌다
상태바
'美 6월 금리 인하 가능성 후퇴'…韓도 기대감 낮아졌다
  • 이지영 기자 ljy@cstimes.com
  • 기사출고 2024년 04월 11일 17시 27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물가에 따라 美 금리인하 기대가 크게 줄었다. [사진=연합뉴스]

컨슈머타임스=이지영 기자 | 오는 6월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낮아지고 있다.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치를 상회하면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경제 지표에 따라 금리 인하를 신중하게 결정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도 지연될 가능성이 커졌다.

미 연준은 10일(현지시간) 소비자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3.5%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근원 소비자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3.8% 상승하면서 예상치를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 참가자들은 연준이 올해 금리 인하를 2회, 혹은 1회 단행할 것으로 내다봤으며 7월 금리 인하 가능성 역시 98%에서 50%로 크게 하락했다.

월가의 전망도 어두워졌다. 골드만삭스는 금리 인하 전망을 6월에서 7월로 연기했다. 또한 래리 서머스 전 장관은 "연준의 다음 조치는 '금리 인하'가 아닌 '금리 인상'일 가능성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면서 "인상 가능성은 15%~25%"라고 인상 가능성도 언급했다.

이어 "6월에 금리를 내리는 것은 지난 2021년 여름 연준의 오류에 이은 위험하고 심각한 실수가 될 것"이라며 "금리 인하는 당장 필요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연준은 물가상승률이 목표 수준으로 둔화하고 있다는 것을 확신할 때까지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을 보여 왔다. 그런데 3월 들어 물가가 다시 치솟자 금리 인하 신중론이 더 힘을 얻게 됐다. 3차례 금리 인하를 전망했던 분위기도 차게 식었다. 최근에는 중동 지역 전쟁 확산 우려까지 커진 상황이다.

12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12일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최규호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에너지를 제외한 상품 물가 둔화는 계속되고 있지만 서비스 물가 상승세가 여전히 강하다"면서 "소비자 물가가 3%를 하회하기까지는 당초 예상보다 오랜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어 "물가 상승세 둔화가 녹록지 않다는 점은 연준의 결정에 신중함이 더해진다는 의미"라며 "다음 달 발표될 4월 물가 흐름도 이와 비슷할 경우 금리 인하가 예상보다 지연될 가능성을 열어둘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분위기에 따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결정에 대해서도 관심이 모인다. 전문가들은 동결을 예상하고 있으며 인하에 대한 언급 또한 미뤄질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9일 금융투자협회가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3일까지 59개 기관의 채권 보유·운용 관련 종사자 100명의 설문 응답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98%가 4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동결을 전망했다.

지난달 동결 응답보다 2%포인트 하락한 결과다. 2% 가운데 1%는 25bp(1bp=0.01%포인트) 인하를, 나머지 1%는 25bp 인상으로 내다봤다.

금투협은 "민간 소비 침체로 내수 회복세가 부진하나, 3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이 2개월 연속 3%대를 기록하면서 4월 금통위에서 현재 금리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는 전망이 우세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설명했다.

임재균 KB증권 연구원은 "한은이 고려하고 있는 민간 소비의 회복 경로는 '금리 인하→민간소비 회복'이 아닌 '물가 안정→금리 인하→민간소비 회복'인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연준이 금리 인하에 나선다면 한은 입장에서도 인하에 나서기는 다소 수월한 상황이지만 미국의 소비자물가 결과로 시장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축소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의 소비자물가는 3.1%를 기록해 둔화세가 더딘 모습이며 전체 소비자물가도 7월까지 3% 내외의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하반기 전기 및 가스요금과 지하철 요금 인상 등이 이뤄질 경우 둔화는 더욱 더디게 나타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한은이 금리 인하의 조건으로 물가가 2%로 간다는 확신이 필요하다고 언급한 점을 고려하면 한은의 금리 인하는 빨라야 8월에 이뤄질 것"으로 내다보면서 "선거 이후 부동산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주담대를 중심으로 가계 부채 증가율이 재차 높아질 수 있는 위험도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