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 증가·PF리스크'…속타는 건설사들, 한계점 임박했나
상태바
'미분양 증가·PF리스크'…속타는 건설사들, 한계점 임박했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출처=연합뉴스

컨슈머타임스=김유영 기자 | 최근 지방 분양시장에서 한 자릿수로 저조한 청약 경쟁률을 보이며 청약 미달되는 단지들이 속출하고 있다.

미분양 주택이 증가하면서 지방 중견건설사의 자금 유동성 마저 악화시키고 있다. 지난달에만 7곳의 지방 건설사들이 무너졌다. 워크아웃 중인 태영건설도 자본잠식으로 주식거래가 중지됐다. 줄도산 공포와 함께 4월 총선 이후 위기론에 힘이 실리고 있다.

건설업계에 따르면 전남 기반의 도급순위 105위인 새천년종합건설이 지난 2월 서울회생법원에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이 외에도 선원건설·송학건설·세움건설 등 총 건설사 7곳이 법정관리 신청 후 '포괄적 금지명령'을 받았다.

포괄적 금지명령은 정식으로 회생절차를 시작하기 전 당사자의 자산을 모두 동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법원의 허가 없이 가압류나 채권회수가 금지되고 회사도 자체적으로 자산을 처분할 수 없다. 

'건설사 부도 위기론'은 오는 4월 총선 이후 더욱 커질 전망이다. 

국내 건설사들은 지난 2년간 지속된 부동산 경기 침체와 6만 가구를 웃도는 미분양 주택, 원자재·인건비 급등, 고금리와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어려움 등으로 한계 상황을 맞고 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지방 분양 실적이 저조할 뿐 아니라 시멘트·레미콘 가격 상승, 높은 인건비 등 인플레이션의 여파가 계속되고 있어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대형건설사도 안전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기업평가(한기평)은 최근 '주요 건설업체 2023년 잠정실적 발표' 보고서를 통해 "주요 건설사들이 외형성장에도 불구하고 원가부담에 따른 수익성 하락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지난해 3분기까지 유효 신용등급을 부여한 상위 20개 건설사의 개발사업과 재건축 정비사업을 포함한 PF 우발채무 총액이 30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했다.

그러면서 최근 유효등급 보유 건설사 중 등급전망이 '부정적(Negative)'이거나 등급감시대상이 '부정적 검토(Negative Review)'로 부여된 업체로 롯데건설, 신세계건설, HDC 현대산업개발, 한신공영 등 4개사를 꼽기도 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올해부터 미분양에 따른 공사미수금과 관련해 대손반영이 본격화될 수 있으며 이는 즉각적인 자본감소 및 재무구조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며 "미분양 증가 등 높은 금융비용 등을 감안할 때 차입부담이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지방 주택의 잔여 세대 홍보. 출처=연합뉴스

지난해 12월 미분양주택은 6.2만호로 9개월만의 증가세로 전환됐으며, 준공 후 미분양도 지난해 10월부터 1만호를 상회하고 있다. 

실제 지방 아파트 단지들은 접수자가 한 자릿수에 그치면서 부진한 성적을 나타내고 있다. 

울산 남구 신정동 '더폴 울산신정'은 특별공급(90세대)과 1순위 청약(167세대)에 각각 1명만 신청했다. 강원도 고성군에 공급되는 '고성석미모닝파크'는 82가구 모집에 7명이 신청해 저조한 성적을 보였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 대출금리 인하가 이뤄진다해도 주택구매자들의 실질금리로 체감되는 시점은 내년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올해도 미분양 리스크는 지속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경기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가운데 PF 우발채무 차환리스크도 여전히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지난해부터 태영건설발 PF우발채무 리스크가 건설사의 단기 유동성에 영향을 미친 가운데 올해도 미분양에 따른 사업 위험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한기평 관계자는 "정부의 대출 정책 방향성이 규제로 돌아서면서 주택 매수 관망세가 장기화될 경우 준공 후 미분양이 더욱 확대될 수 있으며, 이는 건설사 자금유동성 위기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